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따뜻한왜가리246
따뜻한왜가리246

위스키 수입량의 연도별 추세는 어떻게 되고있나요?

점점 위스키의 인기가 높아져서 요즘에는 또 돈이 있어도 못구한다는 기사를 신문에서 가끔씩 보고있는데요. 수입량은 일정한데 소비가 증가해서 품귀현상이 발생하는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21-22년 위스키 수출입 금액입니다.

      아래는 22년부터 23년까지 위스키 수출입 금액입니다.

      이와 같이 보시면 알겠지만 위스키 종류별로 연마다 수입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가 증가하여 수입이 증가되었다고도 볼 수 있으며 품귀현상은 수입 증가량 대비 소비가 더욱 더 증가하여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액이 2억6684만2000달러로 전년 1억7534만4000달러 보다 52.2% 늘었습니다. 이는 2007년(2억7029만4000달러) 이후로 가장 큰 수입액에 해당합니다.

      이처럼 위스키 수입액이 증가한 것은 혼술 문화 및 MZ세대 사이에서 위스키에 음료를 타서 마시는 하이볼이 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입니다.

      품귀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수입량이 증가하고는 있으나 급증하는 수요를 따라가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한국무역협회 K-STAT를 통해 확인해보니 위스키 수입량은 2020년 살짝 주춤하기는 했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HS 2208.30 기준)

      1. 2021~2022년

      2. 2019~2020년

      3. 2017~2018년

      관련된 무역통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한국무역협회 K-STAT 첨부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한국무역협회 K-STAT: https://stat.kita.net/ (국내통계 > 품목 수출입 > 총괄 > HS 220830 검색)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지난 3년간 위스키류의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0년 약 132,463 천불의 수입금액이 2022년에는 266,842천불로 늘어났습니다.

      한국무역협회의 k-stat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위스키 품귀현상은 소비량의 증가 및 수입량의 감소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먼저, 위스키의 경우 한브랜드가 생산할 수 있는 양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스코틀랜드, 일본에 있는 대부분의 위스키브랜드들은 품질을 무엇보다 우선하기에 매년마다 출하량을 적정량으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중국에서 위스키에대한 소비가 늘어나면서 전세계의 물량이 중국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 수입되는양도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되고 그와중에 우리나라에서도 위스키 붐으로 인하여 위스키를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다보니 이러한 품귀현상이 심해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위스키의 소비 증가로 인하여 위스키 자체의 수입량, 다양성은 증가한듯 합니다만 인기가 많은 발베니, 맥캘란 등의 주요 브랜드들은 여전히 구하기 힘든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