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훈육 후 아이가 심하게 울고 있다면,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아이 훈육후에 예상과 달리 아이가 정말 심하게 눈물을 흘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부모들이 어떻게해야할지 난감할 때가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 반응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를 훈육한 후에 아이가 심하게 운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이럴 때는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고

    위로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를 훈육하는 이유를 설명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ㅇㅇ가 밉고 싫어서 그러는게 아니라 ㅇㅇ 의 바르지 못한 말과 행동 때문에 그런거야. 아빠(엄마)는 우리 ㅇㅇ가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자랐으면 좋겠어'

    이렇게 말하며 다독여 주면 좋겠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 후 아이가 예상보다 크게 우는 모습을 보면 부모님으로서는 당황스럽고 마음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중요한 것은 아이가 울음을 통해 감정을 충분히 표현하도록 허용하는 동시에,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우선, 아이가 울 때 그 감정을 부정하거나 "울지 마"라고 억누르기보다는, 차분하게 곁에서 기다려 주며 "많이 속상했구나" 혹은 "마음이 많이 아팠구나" 같은 말로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주세요. 이 과정에서 아이는 자신의 감정이 이해받고 있다고 느끼며, 안정감을 찾게 됩니다.

    아이의 울음이 진정되면, 왜 훈육이 필요했는지 다시 한번 짧게 이야기해 주세요. 이때는 훈육의 이유를 비난이나 강압 없이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안전을 위해서 꼭 지켜야 하는 규칙이야"라든지, "이 행동은 다른 사람에게 아프게 할 수 있단다"처럼 아이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아이가 충분히 진정한 후엔 꼭 안아주거나 따뜻하게 다독여 주세요. 이는 훈육이 아이를 비난하거나 사랑이 줄어든다는 의미가 아님을 알려주는 좋은 방법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훈육 후 우는 이유는

    속상한 마음이 크고, 엄마에게 혼났던 상황이 무서워서 그랬을 것입니다.

    훈육이 끝나면 아이를 그냥 제자리로 돌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아이를 안아주고 우리 00가 오늘 엄마한테 혼나서 많이 속상하고 마음이 아펐지 라고 부드럽게 말을 전달해 주면서 말을 이어가면 좋은데요. 엄마가 우리 00를 혼낸 이유는 앞으로 우리 00가 이러한 실수를 하지 않았으면 해서 우리 00의 잘못을 알려주려고 우리 00를 오늘 혼냈던 것이야 앞으로 이러한 실수를 하지 않도록 조심하자 라고 말을 맺으면서 아이를 안아주고 아이의 등을 토닥여 주면서 아이가 슬펐을 마음, 속상했을 마음을 달래어 주고 아이를 제자리에 돌려보내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어떤것이 옳바른 행동이고 나쁜 행동인건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가르쳐주셔야 되는데 이게 훈육을 통해서 가르침을 주게 될겁니다. 아이들의 입장에서는 무섭거나 억울하거나 다양한 감정에 의해서 우는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운다고 무조건 달래주시는것이 아니고 훈육을 완벽하게 끝내고 아이를 달래주시는게 좋겟습니다. 이는 아이들의 버릇을 형성하는데 아주 중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울고있는 이유를 이해하고 그 감정을 인정해주세요

    아이를 부드럽게 안아주거나 손을 잡아주어서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신체적인 접촉은

    아이에게 위안을 제공하거든요 또는 부드러운 목소리로 아이가 편안한게 느끼도록해주세요

    아이가 감정을 가라앉힐 시간을 주시고 억지로 진정시키려하기보다 아이가 스스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감정을 가라앉힐 수 있을 때 일상적인 이야기를 나누면서 대화를 시도해보세요

    이를 통해서 아이가 다른생각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잘 이해하고 받아주는 것이 중요한 만큼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서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고 다시

    소통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진정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해주세요. 아이가 더 나아지지 않는다면 포옹이나 부드러운 말을 건네며 안심시켜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훈육 후 아이가 심하게 울고 있다면 우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수용해 주면서 공감을 해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우선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그리고 감정이 가라앉을 수 있도록 시간을 주시기 바랍니다.

    진정이 되면, 이후에 훈육에 대해서 부드럽게 표현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