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월판 연골 손상 약 복용 질문이요 + 반월판 연골 손상 질문
안녕하세요
2024년도 6월 쯤에 킥보드를 타다가 넘어져서 무릎을 세게 박았습니다.
그 당시 타박상으로 상처 난 것 빼면 잘 걷고 문제 없어서 그냥 살았는데요
최근에 들어 양빈다리 시 통증과 무릎 안쪽 통증이 너무 심해져서
병원을 다니고 있습니다.
mri도 찍어봤는데 의사 선생님께서는 반월판 연골 파열이 의심이 된다고 하셨습니다.
정확히는 모르는 느낌이시고 의심간다고 일단 약 먹고 더 아프면 다시 내원해서 수술을 하던가 해보자고 하시더라구요
그래서 일단 약을 타왔는데 아클펜정, 오페나딘서방정, 브로젠장용정, 파티스렌에스정
이렇게 4개를 주셨습니다.
그리고 추가로 다른 병원에서 관절약인 아트로다도 받았는데요
같은 의사선생님이 제조해주신게 아니라 문의드립니다.
아클펜정, 오페나딘서방정, 브로젠장용정, 파티스렌에스정 + 아트로다
이렇게 5개를 같이 먹어도 상관없나요 ?
그리고 추가로 질문드립니다.
현재 병원을 두군데를 갔는데 처음 간 병원에서는 mri보시고 이상 없다고 하셨구요
두번째 간 곳에서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의심이 된다고 하셨습니다.
이런 경우 심한 경우가 아니라 의사선생님들의 진단이 나뉘는 것일까요?
저도 계속 아파서 병원을 또 여러군데 가보긴 할건데
진단이 나뉘니까 어떤 경우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약물 복용에 대해서 아클펜정, 오페나딘서방정, 브로젠장용정, 파티스렌에스정과 아트로다를 함께 복용할 경우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어 반드시 주치의에게 문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 병원에서 진단이 나뉘는 것은 흔한 일이고 mri결과 해석이나 의사의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 병원에선 이상이 없다고 판단했지만 두 번째 병원에서는 추가적인 증상을 고려해 의심이 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현재 처방받은 약물들은 각각 통증 완화, 염증 억제, 근육 이완 등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함께 복용해도 큰 문제는 없지만, 약물 간의 상호작용이나 개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들 간의 진단 차이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RI 결과 해석, 환자의 증상, 병력 등이 다르게 고려될 수 있으며,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초기에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병원을 방문하여 최소 3명의 전문의에게 진료를받아보시는게 좋고, 필요하다면 추가 검사를 통해 보다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지속적인 통증이 있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현재 처방받은 약물들은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복용해도 되지만, 다른 의약품과의 조합이나 약물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의사와 약사에게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단 같은 경우 의사의 해석에 따라 차이가 발생 할 수 있고, 증상과 MRI 결과가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MRI 검사결과에 따른 견해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방문하신 병원에서 각각의 소견차이가 있으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상이 변화할 수 있으므로, 처음 방문한 병원과 이후 방문하신 병원에서 다른 소견을 들으셨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약 복용에 관해서는 진료시에 문의를 해보시거나, 약국에 방문하여 혼합복용 여부를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현재 통증이 지속될 때에는 여러 전문의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시는 방법도 좋은 방법 중 하나로 생각됩니다. 약복용 뿐 아니라 통증이 지속되신다면, 다른 치료 방법에 대한 고려도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반월판 연골 손상에 대한 약물 복용과 진단 차이에 대한 질문이시네요.
주어진 약물들: 아클펜정, 오페나딘서방정, 브로젠장용정, 파티스렌에스정, 그리고 아트로다를 함께 복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궁금해 하시는군요. 아클펜정과 오페나딘서방정은 일반적으로 소염진통제로 쓰이며, 브로젠장용정과 파티스렌에스정은 비슷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아트로다 역시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 약들은 서로 복용 가능할 수 있지만, 중복될 수 있는 성분이나 약물 간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현재 복용 중인 모든 약물에 대해 주치의와 상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단 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와 어떤 경우인지 궁금하시군요. 이러한 경우는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의사마다 검사 결과를 해석하는 기준이 다르거나, MRI 영상의 해석이 주관적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손상의 정도가 경미하거나 명확하지 않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추가로 다른 병원을 방문하여 더 많은 의견을 들어보는 것은 종종 유용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