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3.06

어떤 아이들을 보면 생각이 어른 스럽드라고요.

어떤 아이들을 보면 생각이 어른 스럽드라고요. 어떻게 하면 생각의 폭을 넓혀주는지 궁금합니다. 어떤교육을 해야 좋은지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중원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매사에 아이에게 의견을 묻고 스스로 결정하게 해 주세요. 답답한 마음에 부모가 모든것을 결정해 다 챙겨주면 자녀는 스스로 성장할 수 없게 됩니다.모든것을 스스로 결정하고 그 책임을 지도록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생각할 시간을 중분히 주셔야 합니다.

    다음으로 생각의 폭이 넓고 깊이가 깊은 아이로 키우기위해서 독서 교육에 집중해 보시기 바랍니다. 단순히 책을 많이 읽게 하는것이 아니라 한권을 읽고 부모와 많은 대화를 통해 사고의 폭을 늘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에 매몰되기 쉽고 이러한 감정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으면 자칫 자의식이 과한 상태로 자랄 수 있는데요, 어렸을 때부터 자신의 감정을 잘 다스리고 바르게 행동하는 조절력을 키워주시면 좋습니다.

    아이가 가끔 부정적 감정을 느끼더라도 그것을 해소하고 감정에 따른 행동을 하지 않도록 가르쳐주는 것이 중요한데요. 우선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해주고 잘 읽어주어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직시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가끔 이유는 잊은채 감정에 매몰될 수 있는데 부모님이 감정을 읽어주는 것만으로 어느정도 해소가 되기도 합니다. 그런 다음 그 감정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아이의 노력으로 바꿀 수 없는 일이라면 어떻게 전환할지 함께 얘기해보세요. 아이를 행복하게 하는 것, 기분 좋게 하는 것을 얘기해보시고 행동해 보세요.

    이렇게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성숙하게 성장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생각의 폭을 넓혀 주는 방법은

    대화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많은 생각을 생각주머니에 넣을 수 있도록 질문을 많이 해주시고 아이의 호기심도 그 즉시 해결해 주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책을 많이 읽게 지도해주시고, 창의성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도록 그림그리기 및 블럭을 이용해서 만드는 것을 자주 접하게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가령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흰 검은 꼬리 님. 반갑습니다!

    어른스러운 아이를 보면 어떤 교육을 통해 넓은 생각을 할 수 있는지 궁금하군요.

    어른스러운 아이라면 아동기와 청소년기가 있습니다.

    교육의 바탕에서 정서적 성장이 동반되어야 인성과 성숙이 함께 하게 됩니다.

    먼저 아이 입장에서 생각하는 공감 능력을 키웁니다.

    어른 입장에서 공감능력을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아이 자신이 개별적 존재임을 인식하며, 다른 사람들 또한 그들만의 감정과 생각을 가졌음을 이해합니다.

    스스로와 남들의 감정을 이해하며, 이를 언어화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감정과 반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 서서 그들의 감정을 상상할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좀 더 좋은 감정이 들 수 있게끔 행동하거나 생각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타인과 관계를 형성해 나가며 살아가는 만큼 공감 능력은 중요합니다.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인지할 수 있어야 다른 사람의 감정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는 법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특정 나이가 되어서도 남에게 잘 공감하지 못하는 것 같은 모습을 보이면, 부모는 쉽게 불안해합니다.

    그러나 공감 능력은 수치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아이가 공감 능력이 없다는 섣부른 판단을 내리지 않아야 합니다. 물론, 간혹 동생이 우는 모습을 보고 재밌어하는 첫째 아이가 걱정될 순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아직 첫째 아이의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부모가 먼저 타인의 감정에 공감하는 시범을 보여주면서, 아이의 공감 능력을 성숙하게 키워주면 됩니다. https://blog.naver.com/babybjornkorea/222829525005

    사랑을 주고받을 줄 아는 아이에게 공감 능력부터 키워주시면

    이미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생기며 인간관계를 잘 형성해갑니다.

    그런 친구에게 다가가는 것이 또래관계이며 지혜롭고 어른스러운 아이가 됩니다.

    단 어른아이처럼 되는 것은 자기감정이나 존재성을 숨기거나 모른 체 타인과 배려하는 모습이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알아차리셔야 합니다.

    흰 검은 꼬리 님!

    질문을 통해 성숙한 아이를 이해하는 시간이면 좋겠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나를 더 이해하고 수용하며 질문 전보다 ‘나’를 알아가는 귀한 시간 되길 바랄게요.

    언젠가 자녀가 생긴다면 생각의 폭을 넓혀주시며 소통하고 웃는 모습을 상상해봅니다.

    감사합니다! 늘 우리의 삶이 기쁘고 행복하기를 기대합니다.

    아하(Aha) 아동심리상담사 가 령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른스럽다는 기준이 모호한데요, 아이가 배려심을 가지고 예의를 체득할 수 있도록 평소 부모님이 행동을 예의바르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부모의 행동과 생각을 체득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무한한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것을 보고 듣고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사고의 폭을 넓혀주는 것은 한가지 현상이나 사건에대해 다양한 관점에서의 시각와 해석을 이야기 해주면 치우친 생각이나 편협한 사고에 빠지지 않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 됩니다. 그래서 독서토론 교육이 어린 학생때 부터 할 수 있는 좋은 교육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른이 되어도 이기주의적인 사람들은 어른 대접을 잘 못받게 되는데

    어려서도 타인을 생각할줄알고 배려하며 솔선수범하는 마음을 가진 아이들을 보면 참 어른 스럽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관심사와 관련하여 충분히 이야기를 나누고

    책이나 영상, 체험 등을 통한 경험이 뒷바침 되어야 합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모습을 통해서도 배우는 점들이 많아 부모님의 노력도 함께 이뤄져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에게 여러가지 경험을 통하여

    많은 지식을 쌓게 하시고 타인을 배려하는 등의

    교육을 하신다면 자연스럽게 어른 스럽고 생각의 폭도 넓어지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