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어지고 무릎이 아픈데 언제쯤 병원에 가볼까요?
20시간 전쯤 넘어져서 무릎을 다쳤는데 아직까지 걸을 때 찌릿찌릿 아프면서 가만히 있어도 욱신거립니다 ^^; 조금 지켜보다가 계속 아프면 병원에 가보려고 하는데 어느 정도 지켜보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을 다친 후 20시간이 지난 상태에서 여전히 통증이 계속된다면, 상처가 깊지 않거나 큰 골절이 없는 경우라도 꾸준히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렇지만 무릎의 통증이 여전히 심하고, 걸을 때 찌릿찌릿하거나 가만히 있어도 욱신거린다면 병원에 방문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단 냉찜질 및 무릎을 높게 올려 두어 염증 및 부종을 낮춰 보시고 그럼에도 지속해서 통증이 심하거나 하시다면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상태 검사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넘어지면서 무릎쪽을 다쳤다면 집에서는 차가운냉찜질을 적용해보시고 무릎보호대를 착용해서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고정하는것이 좋습니다
1~2일정도 경과를지켜보시고 그래도 증상에 호전이없거나 점점더 심해지는거같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시고 치료를받으시는게 도움이될수있습니다
빨리 몸이 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현배 물리치료사입니다.
충격과 외상으로 인해 발생한 통증이라면 일반적으로 2~ 3일 정도는 지켜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통증의 정도가 증가하고 발열이나 발적 등이 발생한다면 즉시 병원에 가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선 물리치료사입니다.
아프면 뭔가 시간을 정하지 않고 가볍게 가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병원 가셔도 단순 수술을 하거나 시술을 하는게 아니라 진료를 보고 물리치료나 약물치료 정도 해주기 때문에, 며칠을 보고 간다기 보다는 불편하면 가서 원인을 파악해보는게 좋을거같습니다. 넘어질 경우에는 근육이나 인대가 문제가 될 수가 있고, 뼈가 문제일 수도 있고, 찌릿하다고 하신거보면 신경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일반적으로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혹은 며칠 쉬면 괜찮아질것으로 보입니다. 근데 현재 가만히 있어도 욱신거리다는 것은 신경이 압박될 수 있으니 내일이라도 보시고 계속 아프면 병원 가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신경은 혼자서 잘 안낫고 다른 처리를 해야 합니다. 부디 잘 회복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진 물리치료사입니다.
무릎 통증으로 불편이 있으시군요.
넘어지셔서 무릎에 통증이 있으시다면 힘줄이나 인대 등의 손상을 의심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냉찜질을 해주시고 무릎에 부하를 주거나 통증을 유발하는 동작이나 움직임은 하시지 마시고 쉬어 주시는 것이 좋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이 더 심해 질 수 있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빠른 시간내에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지켜보는 것보다는 병원에 가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통증이 심하거나 부기가 심해지는 경우 또는 걸을 때 찌릿찌릿한 느낌이 지속된다면 즉시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관절에 이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전문의의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우영 물리치료사입니다.
냉찜질을 오늘까지만 더 해보시고 내일도 아프시다면, 병원에 가셔서 엑스레이를 찍어보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대부분 넘어져서 걸을 때 찌릿하고 가만히 있어도 욱신거리는 통증이 있다면, 염증으로 인해 무릎이 붓거나 열감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병원에 가신다면 약 처방해주고 물리치료를 해주실텐데, 추가적으로 무릎보호대를 착용하여 일상생활을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무릎 보호대를 착용하지 않는다면, 무릎의 큰 부하로 인해 다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결론 - 내일도 아프시다면, 병원에가셔서 엑스레이를 찍고 골절이 있는지 확인 후 없다면, 약과 물리치료를 받으시고 무릎보호대도 착용하시는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보통 타박상이 발생하고 48시간에서 72시간 정도는 염증반응이 지속될 수 있는데요, 이때 증상이 점점 심해지거나 보행의 제한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빠른 시일내로 병원에 방문하셔서 골절여부를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밖에도 불편감이 지속되시는 경우 필요에 따라 약처방이나 물리치료등 통증에 대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 병원에 방문하셔서 적절한 조치를 받아보시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