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물동량이 관세 때문에 줄었다던데 운송업체들은 어떤 피해 있을까요
관세 폭풍 때문에 물류 섹터도 영향을 받는다는 기사 있었는데요. 항만, 컨테이너 운임 등 물류분야에서도 이런 데서 체감되는 변화가 크겠죠?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현재 미국향 컨테이너에 대한 물량이 줄면서 가격이 상당부분 하락하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를 메꾸기 위한 다른 곳으로의 화물도 경기침체로 많지 않아 결국 해운 업계도 이러한 부분에 대한 피해를 입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관세가 높아지면 제일 먼저 줄어드는 게 물동량입니다. 수입이 줄고 수출도 위축되면 항만에서 처리하는 컨테이너 수가 눈에 띄게 떨어집니다. 이렇게 되면 선사들은 선복을 덜 채워 출항하거나 아예 노선을 줄이게 되고, 항만 하역업체나 트럭 운송사도 일감이 줄어듭니다. 운임은 물량이 줄면 오히려 올라가는 경우도 있는데, 그게 또 거래선 입장에서는 추가 부담이 됩니다. 물류업계가 겪는 피해는 단순히 운임 수입이 줄어드는 것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노선 축소나 고정비 부담 증가로 이어져서 체감하는 압박이 훨씬 크게 다가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관세로 미국발 수출입 물동량이 줄면 운송업체 입장에서는 곧바로 물량 감소로 이어져 항만 처리량, 컨테이너 운임, 선사 스케줄 전부 타격을 받습니다. 특히 정기 노선을 운영하는 선사들은 적재율이 떨어지면 운임 인하 압박을 받게 되고, 터미널항만 운영사들도 처리 수익이 줄어듭니다. 항공화물도 마찬가지로 긴급성이 줄면 단가가 떨어지고, 중소 포워더들은 고정비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일부 대형 글로벌 선사들은 노선 재조정이나 타 지역 환적 확대 등으로 대응하지만, 한국 업체들은 단기적으로 수익성 악화 압박을 크게 체감할 가능성이 큽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