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겉씨식물의 특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식물에도 여러종류의 식물이 있더라구요~ 이끼종류인 선태식물, 고사리류, 그리고 겉씨식물등 다양한 식물의 종류가 있는데 겉씨 식물의 특징은 무엇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겉씨식물(Gtmnosperms)은 침엽수류를 중심으로 한 식물 분류군입니다. 씨앗이 외부에 노출되어 발달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식물들은 구과라 불리는 특수한 구조를 통해 생식 과정을 진행합니다. 구과는 일반적으로 꽃과는 달리 남녀의 생식기관이 분리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수구과와 암구과로 발달합니다. 수구과에서는 꽃가루가 생성되며, 암구과에서는 씨앗을 형성하고 이 씨앗은 보호구조 없이 비늘 사이에 노출된 상태로 남아있습니다.

    1명 평가
  • 겉씨식물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나무, 잣나무, 은행나무 등을 포함하는 식물군입니다.

    겉씨식물의 가장 큰 특징은 씨가 씨방에 싸여 있지 않고 밖으로 드러나 있다는 점입니다. 마치 겉에 씨가 붙어 있는 듯한 모습이죠. 이러한 특징 때문에 겉씨식물을 '나자식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겉씨식물의 꽃은 일반적으로 꽃잎이나 꽃받침이 없고, 수꽃과 암꽃이 따로 피는 단성화입니다. 또 바람을 통해 꽃가루받이를 하는 풍매화이기 때문에 화려한 꽃잎이 필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겉씨식물의 가장 큰 특징은 씨가 겉으로 드러나 있다는 점 입니다.

    겉씨식물은 암꽃 수꽃으로 구별되는 단성화이고 꽃의 구조도 꽃잎과 꽃받침 없는 단순한 구조입니다.

    이들은 바람에 꽃가루를 날려서 수분을 하는 풍매화를 가집니다.

  • 겉씨식물의 주요 특징은 씨가 겉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이들은 종자를 보호하는 열매가 없고, 대부분 침엽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나무, 전나무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들의 잎은 침 모양으로 좁고 긴 경우가 많고, 수분을 유지하기 위해 두꺼운 큐티클층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겉씨식물'이란 밑씨가 씨방에 싸여있지 않고 밖으로 드러나 있는 식물로 '나자식물'이라고도 부릅니다. 겉씨식물(나자식물)은 꽃이 피지 않으며, 밑씨에서 발달한 종자가 나출되는 식물군이기 때문에, 종자가 심피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속씨식물(피자식물)과 상대되는 분류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속씨식물의 경우에는 꽃가루가 암술머리에 붙어 씨방으로 내려가서 중복수정을 하며 그 후에 배와 배젖이 형성되는 반면에, 겉씨식물은 꽃에 화피가 없고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며 주로 바람에 의해 수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수정 전에 배젖이 형성되고 중복수정을 하지 않습니다. 또한 겉씨식물은 물관 대신에 헛물관을 가지고 있거나 물관이 없으며 체관부에는 많은 체구멍이 있어서 체관과 같은 역할을 하며, 속씨식물의 쌍떡잎식물과 같이 원뿌리와 곁뿌리의 구분이 뚜렷한 곧은 뿌리로 되어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종자가 씨앗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보호를 받지 않고 직접 외부 환경과 접촉합니다.

     씨앗의 겉씨는 종자를 보호하고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겉씨의 형태와 특성은 각각의 식물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