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과 이란이 휴전에 합의했다고 하는데요?? 주식은 그대로이네요.
서로 미사일 공습을 주고받으며 전쟁으로 치닫던 이스라엘과 이란이 휴전에 합의했다는데요. 한동안 주가가 막 오르다 막상 휴전하니 주가가 생각보다 오르지가 않네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휴전은 예상된 시나리오이기 떄문에 이미 시장에 반영되어 있었습니다. 투자자들은 금리, 경제지표, 기업실적 등 더 중요한 이슈에 주목중입니다. 단기 이벤트로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 소식은 실물경제에 직접미치는 요소가 아니며 펀더멘탈보다는 단기 심리수급에 미칠요소입니다
그리고 그동안 실적개선기대감과 기업이익컨세서스가 좋고 거버넌스개선으로 주가가 랠리를 보인것입니다
이게 핵심요소이고 최근 과하게 오르면서 해당 시나리오는 차익매물 조정요소로 작용한것이며 지금은 밸류부담으로 잠시 횡보를 보이는 국면으로 보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전쟁중에도 그 이슈 때문에 주가가 급락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악재가 해소된다고 하여 크게
오르진 못햇습니다
현재 주가가 잠잠한 이유로는 상반기에 수익을 확정하고 하반기로 넘어가려는 기관의 니즈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너무 빠른 기간에 급등한 만큼 조정기간이 충분히 있어야 할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휴전은 이미 지난주부터 얘기가 나왔던 부분으로 일정 수준 지난주 반등시 선반영 됐다고 봐야 합니다. 더 강한 호재가 나와야 추가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 시장은 미래의 기대감을 미리 반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전쟁 발발 우려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이미 주가가 하락했다가, 휴전 기대감으로 어느 정도 회복세를 보였다면, 막상 휴전이 발표되었을 때는 이미 그 기대감이 가격에 반영되어 큰 폭의 추가 상승이 없을 수 있습니다. 휴전이 합의되었지만, 중동 지역의 불안정성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닙니다. 트럼프 대통령도 휴전 이후에도 무력 충돌이 재개될 수도 있다고 언급했듯이, 투자자들은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란의 핵 개발 문제 등 근본적인 갈등 요인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전쟁 발발 시 상승했던 방산주들은 휴전 소식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한화시스템과 같은 기업의 주가가 하락하는 등, 전쟁 관련 주식의 투자 심리가 악화된 것도 시장 전체적인 상승세를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