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설총이 만든 이두가 우리나라의 고유의 문자가 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신라시대에 살았던 설총은 이두를 창시한 학자로 알려져 있는데요. 설총이 만든 이두가 우리나라의 고유의 문자가 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수줍게웃는타킨108
    수줍게웃는타킨108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두는 삼국시대부터 20세기 초까지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기록하는 중요한 수단 중 하나였으나,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왔기 때문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후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면서 이두는 점차 사용이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두는 한자사용법의 일종이기 때문에 애초에 고유문자가 아닙니다

    중국식 어순이 아니라 한국어의 어순으로 쓰고

    은는의이가 같은 조사는 소리가 비슷한 한자를 넣어서 한국어를 표현하긴 하지만

    한자는 한자니까요.

    이두가 현재까지 전해지지 않는 이유가 궁금하신 거라면

    이두는 조금씩 변형되면서도 조선 초기까지 쓰였지만

    훨씬 더 한국어에 알맞고 쉬운 한글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지식인들은 한자 그대로 쓰고 백성들은 한글쓰면 되서 이두는 자연스럽게 사장되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설총이 만든 이두는 형식적으로 한문과 유사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쓰기에 매우 불편하여 고유의 문자가 되지 못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두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한자를 인용하였으며

    신라를 중심으로 사용되었고 고려시대에도 사용하긴 하였지만

    한문 문장에 가까웠던 등 한글이 나오면서 우리 고유의 문자가 되지 못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두는 문자가 아니라 당시의 우리말을 표현하기 위해 우리말의 어순에 한자의 음과 뜻을 빌어온 표기법입니다. 그래서 한글과 같이 문자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한자 원래의 의미를 버리고 음과 새김의 발음만을 차용하여 표음문자인 우리말을 기록하는 방식이 있었는데 설총이 창작했다고 하는데, 개인이 창작했다기보다는 그때까지 발달해 온 차자표기법을 설총이 정리하여 경서를 우리말로 주해 하고 새겼다고 보는 것이 타당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