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원효대사의 아들인 설총이 만든 이두는 정확히 무엇인가요?

원효대사의 아들인 설총이

우리나라의 문자인 훈민정음이 만들어지기전까지의 문자체계인 이두를 만들었다고 하는데

이두는 정확히 어떤 문자를 이두라고 한 것인가요?

그리고 설총이 만든 이두는

훈민정음이 창제되기전까지 우리나라의 역사를 기록할 때 국가적으로 사용하던 표기법이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 한자를 신라어로 치환, 해석한 이두를 창시하였다고 합니다.

    처음 불교 서적을 탐독하다가 뒤에 유교로 전향했습니다. 이후 신라 신문왕 때에 국학에서 수학하였고, 746년부터는 강수와 함께 박사에 임명되어 학생들에게 구경을 가르쳤다고 합니다.

    이두는 넓은 의미로는 한자 차용 표기법 전체를 가리키며 향찰(鄕札)·구결(口訣) 및 삼국 시대의 고유명사 표기 등을 총칭하여 향찰식 이두 또는 구결식 이두 등의 말로 쓰이기도 하나, 좁은 의미로는 한자를 한국어의 문장 구성법에 따라 고치고 이에 토를 붙인 것에 한정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즉, 이두는 한문을 국어의 어순에 맞추어 재배열하고 일부 형식 형태소나 부사 등에 한자를 차용하는 표기 체계입니다. 대체로 의미부는 한자의 훈(뜻)을 취하고 형태부는 한자의 음(소리)을 취하여 특히 곡용이나 활용에 나타는 격이나 어미를 표기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두는 한자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을 옮겨 쓴 것 입니다.

    훈민정음이 창제 되기 까지 전까지 사용 되었는데요.

    이두를 만들게 된 계기는 좀 더 편리하게 우리말을 글로 옮겨 적기 위해서 였습니다.

    또한 백성들이 한자를 쓰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이두를 정리한 것입니다.

    설총이 정리한 이유는 신라뿐 아니라 고려 조선시대 까지 이어져 사용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기록하던 표기법 입니다. 한자의 음이나 새김을 차용할 때 한자 원래의 의미를 살려서 하는 방식과 한자 원래의 의미를 버리고 음과 새김의 발음만을 차용하여 표음문자인 우리말을 기록하는 방식인데 국가의 공식적인 문서를 작성 할 때 이두식 표기를 해서 작성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중국어 발음상으로 나 를 나타내는 단어 我 는 중국어 발음으로는 워 라고 발음 하나 실제로는 ( 나오 吾) 자로 표기하는 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