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굉장한콘도르12
굉장한콘도르12

대형 온라인 플랫폼의 독과점에 대한 규제에 대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디지털 플랫폼 발전 방안’이라는 사실상 규제책을 정부가 내놨다고 들었는데요 이에 관한 규제가 필요한지 만일 그렇다면 이에 대하여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답변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정부가 대형 디지털 플랫폼 기업의 시장 지배력 남용과 무분별한 확장 등 폐해에 대해 엄정한 법·제도적 대응에 나선다. 정부는 ‘세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플랫폼 경제·사회 실현’이라는 비전 아래 ‘혁신과 글로벌’, ‘자율과 공정’, ‘신뢰와 포용’ 3가지 원칙을 수립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세계를 선도하는 플랫폼 산업 육성’,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 ‘건강한 플랫폼 사회 구현’ 3대 전략과 9가지 핵심과제를 추진한다. 간 플랫폼 자율기구 지원 등으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9월 윤석열 대통령이 뉴욕대 주최 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밝힌 ‘뉴욕 구상’을 바탕으로 플랫폼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과 플랫폼·시장 참여자가 모두 성장하는 환경을 위한 대책을 구상해 왔다. 정부가 2020년부터 운영해온 산·학·연 논의 기구 ‘디지털 플랫폼 정책 포럼’에서 그동안 이뤄진 논의도 이번 발전 방안에 일부 반영됐다.

  • 공정과 기회 경쟁의 평등은 누구나 바라는 것입니다만 세상은 평등하지않습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런상황에서 약간의 안전장치를 두고 경쟁을 해야하죠

    승자독식구조가 있기 때문에 승자들만 100을 줄게 아니라 하위 10-50%들도

    재기 할수 있는 최소한의 발판이 제도적으로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주요 내용을 보아하니,

    • 플랫폼 기업의 자율규제 강화 및 공정거래 질서 확립

    • 플랫폼 기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 플랫폼 관련 데이터 활용 및 보안 강화

    • 플랫폼 노동자 보호 및 권리 보장

    이런 내용인거 같습니다.

    아마, 기업의 자율규제와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을 통해 혁신적이고 공정한 플랫폼 생태계를 만들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플랫폼 관련 부작용을 해소하고 국내 플랫폼 기업의 건전한 성장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 ✅️ 과거 카카오가 미용실 시장까지 진출하려고 할 때 여론의 비판으로 결국 성사되지 못한 것처럼 대형 온라인 플랫폼이 사실상 국민들의 삶을 구석구석 모두 지배하는 것에 있어서는 어느정도 정부 주도의 규제가 필요한 것이 맞다 하겠습니다.

  • 대형 플랫폼에 대한 규제가 오히려 우리나라 토종의 플랫폼에 대한 규제로 이어지게 되면서 다른 외국 플랫폼들이 점유비를 확대하는 기회가 될 수 있어서 효율성의 측면에서 떨어진다고 봐야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