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증시 개장시간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미국 증시는 한국 시간으로
11시30분부터 6시 까지로 아는데요
오전 10시 30분에도 보니까 차트가 움직이는 것 같더라구요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증시는 공식적인 개장시간 외에도 프리마켓(Pre-Market)과 애프터마켓(After-Market)이라는 장외 거래 시간이 존재합니다. 차트가 움직이는 이유는 이 거래 시간대에서도 매수와 매도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아래에서 미국 증시 개장시간과 각 거래 시간대의 특징을 설명하겠습니다.
1. 미국 증시 공식 개장시간정규 거래 시간 (Regular Trading Hours)
한국 시간: 밤 11시 30분 ~ 다음 날 아침 6시 (서머타임 적용 시 밤 10시 30분 ~ 새벽 5시).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에서 정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시간입니다.
대부분의 거래가 이 시간에 집중되며, 유동성과 거래량이 가장 많습니다.
미국 증시에서는 정규 거래 시간 외에도 장외 거래가 가능합니다.
(1) 프리마켓(Pre-Market)한국 시간: 오후 6시 ~ 밤 11시 30분 (서머타임 적용 시 오후 5시 ~ 밤 10시 30분).
특징:
정규 개장 전에 이루어지는 거래.
주요 경제 지표 발표, 기업 실적 발표 등의 뉴스가 시장에 반영되어 주가가 움직입니다.
유동성이 낮아 가격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일반 개인 투자자도 장외 거래를 지원하는 브로커를 통해 참여 가능.
한국 시간: 아침 6시 ~ 오전 8시 (서머타임 적용 시 새벽 5시 ~ 오전 7시).
특징:
정규 거래가 끝난 후에도 이루어지는 거래.
기업의 실적 발표나 뉴스에 의해 주가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규 시간보다 거래량이 적어 가격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실시간 거래 반영: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의 거래는 정규 거래 시간과 동일하게 실시간으로 차트에 반영됩니다.
거래소의 공식 시간 외에도 주가가 변동할 수 있는 이유입니다.
제한된 참여:
정규 거래 시간에 비해 참여하는 투자자와 거래량이 적습니다. 따라서 일부 브로커(증권사)에서만 장외 거래를 지원합니다.
유동성 부족: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에서는 거래량이 적기 때문에 원하는 가격에 매수/매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높은 변동성:
뉴스 발표나 경제 지표 발표 직후에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브로커 제한:
모든 브로커가 장외 거래를 지원하지 않으니, 거래 가능 여부를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정규 거래 시간: 한국 시간 기준 밤 11시 30분 ~ 아침 6시 (서머타임 시 밤 10시 30분 ~ 새벽 5시).
프리마켓: 정규 개장 전 거래(한국 시간 오후 6시 ~ 밤 11시 30분).
애프터마켓: 정규 폐장 후 거래(한국 시간 아침 6시 ~ 오전 8시).
프리마켓과 애프터마켓의 거래도 차트에 반영되기 때문에, 정규 개장 전후에도 주가 변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 시간대를 활용하면 뉴스나 발표 자료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지만, 변동성과 유동성 부족을 주의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증시의 정규장은 말씀하신 오후 11시30분부터 다음날 오전 6시가지인데요.(우리나라 시간 기준)
하지만 장전, 장후에도 거래가 가능합니다. 장전은 오후 6시부터 11:30분까지이고, 장후는 오전 6시부터 10시까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