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등산·클라이밍 이미지
등산·클라이밍취미·여가활동
등산·클라이밍 이미지
등산·클라이밍취미·여가활동
건장한홍학293
건장한홍학29323.03.23

고산병은 왜 생기나요..!??

고도가 높은 산에 가면 고산병이 온다던데 혹시 이유가 있나요? 어떤거 때문에 고산병이 생기는지 생기면 어떻게 되는지 알려줏ㅔ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상냥한애벌래123입니다.

    고산병은 낮은 지대에서 고도가 높은 해발 2,000~3,000m 이상의 고지대로 이동하였을 때 산소가 희박해지면서 나타나는 신체의 급성반응입니다. 고지대로 올라가면 점차 공기 중 산소농도가 떨어져 동맥 혈액에 녹아든 산소가 줄고 조직에는 저산소증이 발생합니다. 급성 산악병은 가벼운 두통과 숨이 답답한 증상으로 시작하여 대개 등산 후 1~6시간 사이에 발생하는데 이마 쪽으로 두통이 심해지고, 비특이적인 식욕저하, 구역(메슥거림), 구토 등의 소화기 증상과 권태감, 위약감, 소변양 감소, 수면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산병의 심각한 증상인 고산뇌수종은 실조증과 의식저하 등이 나타나며, 12시간 내에 치료하지 않으면 혼수에 빠지게 됩니다. 고산폐수종 환자는 초기에 마른기침을 하고, 운동하면 호흡곤란, 폐수포음이 들리며, 더욱 심해지면 청색증과 거품이 섞인 기침, 안정 시 호흡곤란, 의식저하가 발생하여 최악의 경우 사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비장한딱새184입니다.

    고도가 높은 산은 산소가 부족해서 고산병이 생깁니다. 고산병은 2000미터 이상에서 발생하면 3000미터 이상에서는

    심하게 나타날수 있습니다. 고산병을 예방하려면 천천히 올라가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바닷가에서만난비둘기입니다. 고산병은 고도가 높은 곳에는 산소가 부족해서 숨을 제대로 못쉬어서 생기는 병이리고 합니다 보통 3.000미터 이상의 높은산에서 생기는 것이 고산병입니다 우리나라에는 고산병 생기는 산은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4

    안녕하세요. 앞으로도 유소유 뒤로도 유소유입니다.

    고산병은 중간에 순화과정없이 고도가 낮은 곳에서 해발 2000~3000m이상 되는 고지대로

    올라갔을때 산소가 부족해 나타나는 급성반응입니다.

    고산병은 높은 산을 오를경우 중간중간 단계를 나눠 몸이 적응하게 해야합니다.

    그리고 되도록이면 음료를 많이 마시고 미리 약을 복용하고 등반하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털털한호랑나비508입니다.

    고산병은

    고지대에서 산소 부족으로 겪게 되는 증세으로

    두통ㆍ어지럼증ㆍ구토 ㆍ호흡곤란 ㆍ 심장마비도

    올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