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충과 익충을 구별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러브버그는 너무 많은데도 익충이라고 하는데요.
때문에 방역도 하지 않고요.
해충과 익충을 어떻게 구별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조건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해충과 익충은 정말 종이 한장 차이 같은데요
조금이라도 사람과 생태계에 도움을 주면 다 익충이고
긍정적보다 부정적이 많으면 해충으로 구분이 되는거랍니다.
해충과 익충을 구별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는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입니다.
어떤 곤충이 해충인지 익충인지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라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개념으로 인간의 관점에서 이익이 되는지, 해가 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입니다.
즉, 같은 곤충이라도 상황에 따라 해충이 되기도 하고 익충이 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무당벌레는 진딧물을 잡아먹는 익충이지만, 특정 지역에서 대량 발생하여 교통체증을 유발하거나 불쾌감을 줄 경우 해충으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또 꿀벌도 꿀을 만들고 수분을 돕는 익충이지만, 때로는 사람을 쏘아 피해를 주기도 합니다.
이는 말씀하신 러브버그도 마찬가지입니다. 분명 익충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앞선 무당벌레처럼 해충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죠.
해충과 익충은 인간의 관점에서 이로움을 주는지 해로움을 주는지에 따라 구분됩니다. 해충은 농작물이나 가축에 피해를 주거나 질병을 매개하고, 독성으로 사람에게 직접적인 해를 끼치는 경우를 말합니다. 반면 익충은 작물의 수분을 돕거나 해충을 잡아먹는 등 인간에게 이로운 활동을 하는 곤충을 의미합니다. 러브버그의 경우 독성이 없고 사람을 물거나 질병을 옮기지 않으며, 유충이 낙엽이나 썩은 식물 등을 분해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성충은 꽃의 수분을 돕기 때문에 익충으로 분류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해충과 익충은 인간에게 해를 주면 해충, 이익을 주면 익충으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러브버그는 대량 출현으로 불편을 주지만 사람이나 농작물에 직접 해를 주지 않고 유충이 유기물 분해를 도와 환경에 이익을 주기 때문에 익충으로 분류되어 방역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