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수학계산 문제를 힘들어 하는 아이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초등학교 다니는 조카를 보면 수학 덧셈과 뺄셈의 계산을 힘들어하는데 기본적이라 생각한 부분인데 어려워하더라구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가장 까다롭게 아이들이 느끼는 부분이 덧셈과 뺄셈의 받아 올림과 받아 내림의 개념이 어려운 듯 보입니다. 위 개념들은 초등학교 2학년 수학 수업시간에 수모형과 막대 큐브를 활용해서 지도를 하는데요. 항상 10을 기준으로 잡아서 아이들이 받아내림과 받아올림을 이해할 수 있도록 조작 활동을 하게 합니다. 가정에서도 교구를 활용해보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수학계산 문제를 힘들어 한다면

    아이가 힘들어 하는 문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이해도를 높여주세요.

    더나아가 아이가 좋아하는 사탕, 과자, 스티커, 블럭, 장난감을 활용하여 수의 대한 학습을 도와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게임 및 놀이 형식으로 학습을 진행하면 아이가 수학 학습을 재미있게 참여를 하면서 수학에 대한 재미를 느끼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집에 있는 블록이나 연필등 실제로 만질 수 있는 물건을 이용하여 덧셈, 뺄셈의 개념을 익혀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건이 없으면 손가락을 이용해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수학 계산 문제를 힘들어하는 아이에게 덧셈과 뺄셈의 기본 개념을 다시 설명해 주세요. 예를 들어, 실제 사물을 사용해 숫자의 의미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게 돕는 것이 좋습니다. 사과나 블록 등을 활용하여 직접 더하고 빼는 활동을 해보세요.

    수학 게임이나 카드 놀이를 통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덧셈과 뺄셈 카드를 만들어서 게임을 하거나, 수학 문제를 풀 때마다 점수를 주는 방식으로 재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숫자선, 도형, 또는 그림 등을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문제를 풀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개념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실제 생활과 연결된 문제를 만들어서 아이가 더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해보세요. 예를 들어, "사과가 3개 있고, 친구가 2개를 더 줬다면 총 몇 개일까?"와 같은 문제를 활용합니다.문제를 잘 풀었을 때 칭찬하고 격려해 주세요. 아이의 자신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수했을 때는 실망하지 않도록 도와주고, 문제 해결 과정을 함께 이야기해 보세요.

    아이의 학습 스타일에 맞춰 접근하면 수학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점차적으로 자신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흥미를 느끼도록 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제가드린 답변이 조금이나마 참조가 되었기를 바라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수학계산 문제를 연계시켜보세요. 가정에 있는 익숙한 물건들로 계산문제를 만들어 보는것도 좋습니다. 쉬운 문제를 반복하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덧셈밸셈을 어려워 한다면 반복적으로 연습을 하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덧셈과 뺄셈과 같은 연산능력 향상을 위해서 아이수준에 맞는 연산책등을 선택해서 매일 꾸준하게 일정량의 분량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매일 꾸준하게 반복연습을 하다보면 덧셈뺄셈도 어려워 하지 않고 실력도 금방 늘어날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숫자나 연산이 친숙해질 수 있도록 일상 속에서 간단한 계산을 접하게 하는 것도 도움이됩니다. 시각적 도구도 활용해 보세요

  •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어려워하는 부분을 파악하고 기본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문제부터 접근해보세요 이렇게 하면 그래도 괜찮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