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강렬한웜뱃64
강렬한웜뱃64

야근수당계산시 분은 어찌계산되나요?

야근시간이 1시간 13분,41분 이런경우

야근계산이 어찌되나요?

야근수당계산하려는데 1/60으로 해서 소수점으로 해야하는지

버리는 수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정화 노무사입니다.

    1개월 동안 전체 추가 근무시간을 모두 합산하여 급여를 산정하면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리고 1개월 동안 합산한 추가 근무시간에도 분단위 근무시간이 있는 경우라면 해당 분단위 근무시간에 대하여도 급여를 지급해야 하므로 1/60으로 계산하는 등 근로자에게 불리하지 않는 방법으로 계산하여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근무한 시간(분) / 60으로 계산을 한 후 시급을 곱하여 수당을 산정하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소수점도 반영하여 계산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정원 노무사입니다.

    먼저 가장 정확하게는 분 단위도 소수점 계산을 하는 것이 맞긴 합니다

    다만, 실무적으로 3분, 1분 단위의 경우 절하를 하더라도 통상적으로는 크게 문제되지는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형식 노무사입니다.

    근로시간 산정에 있어서, 시간 단위 또는 분 단위까지 포함하여 산정하여야 하는지에 대하여는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근로기준법의 취지상 실제 근로시간을 반영하여 "분 단위까지 포함"하여 연장근로시간을 산정하여 지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