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정겨운도마뱀87
정겨운도마뱀87

미국은 기준금리 4%인데요 울나라 3%인데 언제쯤 조정되는지 궁금합니다

미국 기준금리 4%인데 굳이 울나라도 4%데 맞춰야 히는지 궁금하네요.

울나라 기준금리 인상한다면 언제쯤 몇%인상 예정인지 고수님들 답변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제 밤 미국의 CPI발표에 따라서 증시가 매우 크게 상승했는데요. 예측치인 8%에 비해서 훨씬 낮은 7.7%를 기록하면서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속도에 대한 '피벗'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대로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4%이며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3%인 상황이다보니 이로인한 달러의강세로 환율이 크게 상승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환율 상승은 국내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져 국내에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율과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쫓아가야 하는 상황이지만, 개인들의 부채나 기업들의 부채수준이 심각하고 변동비율이 많아서 '완전히 미국금리에 동조화'시키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어제 발표된 CPI로 인해서 미국의 기준금리 속도가 완화된다면 미국의 금리는 천천히 인상되어 내년 상반기쯤 마무리 될 것이고 기준금리는 5% 내외에서 정점을 찍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를 0.5% 범위내에서 유지할 가능성이 높고 미국보다는 더 천천히 금리인상을 하여 내년 중반쯤이 되면 4%중반까지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보이는 상황입니다.

      순서대로는 우리나라는 올해연말 3.5%를 가고, 내년 1월부터 베이비스탭을 통하여 조금씩 금리 인상을 통하여 6월에서 7월 사이 최종금리 가 4.5%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다만 미국의 기준금리 기조가완화된다면 최종금리 수준은 4%에서 4.25%가 될 것 같아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연준과 우리니라 기준금리차가 발생하였는데요..우리나라는 올해 11월달에 기준금리 1회가 남았고 미국은 12월달에 또한번의 기준금리인상이 있습니다.역전차가 발생되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클수밖에 없지만 대출이자등을 고려하면 무작정 크게 올릴수만은 없습니다. 빅스텝정도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

      올해는 11월 24일 열릴 예정입니다.

      https://www.bok.or.kr/portal/singl/crncyPolicyDrcMtg/listYear.do?mtgSe=A&menuNo=200755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조금 더 인상되지 않을까라고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는 11월말에 금통위가 예정되어 있고 50BP 인상이 유력합니다.

      • 현재 한미간 금리차이가 1%이상 벌어진 상황에서 미국이 12월에 추가적으로 금리인상 할 부분까지 염두해야하기

        때문에 이번에 금리를 큰폭으로 올려야 균형이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차주에 금통위 진행합니다. 올해 마지막으로 25bp~50bp 예상하는데 아마도 25bp일 가능성이 높을것 같습니다.

      50bp을 했을경우 가계부채가 높은 한국은 엄청 부담이 클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준금리가 미국 기준금리를 따라가는 이유는 한국 기준금리가 미국 기준금리보다 낮다면 한국에 투자했던 외국인들이 한국보다 수익률과 안전성이 높은 미국으로 돈을 회수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외화가 급격히 빠져나가고 환율이 상승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