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가변저항과 미지의 저항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미지의 저항을 측정하는 장치가 휘트스톤 브리지던데요~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미지의 저항과 가변저항은 어떻게 다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미지의 저항은 아직 그 값을 모르는 저항이며 측정을 통해 값이 확인되는 저항입니다. 휘트스톤 브리지에서는 이러한 미지의 저항 값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가변저항은 그 값이 조정 가능하도록 설계된 저항으로, 사용자가 필요한 저항 값을 기계적 조작을 통해 바꿀 수 있습니다. 가변저항은 종종 회로 내에서 전류나 전압을 조절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가변저항은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미지의 저항과 차이가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휘트스톤 브리지는 이 가변저항을 조정하여 브리지의 양쪽 다리의 전압 분배를 동일하게 만들어,

    미지의 저항값을 결정합니다. 즉 , 가변 저항은 측정 도구의 일부이고 미지의 저항은 측정 대상입니다.

    미지의 저항

    측정하고자 하는 알려지지 않은 저항값을 가진 저항기입니다.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에서 RX로 표시되며, 이 값을 알아내는 것이 목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미지의 저항은 정확한 값을 알 수 없는 저항으로, 휘트스톤 브리지를 사용해 측정합니다.

    가변 저항은 값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로, 미지의 저항을 측정할 때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가변저항은 저항을 조절해서 전압이나 전류를 조절하다록하는 저항입니다. 그래서 저항을 조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미지의 저항은 전기회로에서 저항을 측정할때 사용되는 저항으로 회로의 분석할때 사용됩니다. 그래서 저항값을 변경할수 없는 저항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철연 전문가입니다.

    미지의 저항은 값을 알 수 없는 저항을 의미하며, 휘트스톤 브리지를 사용해 그 값을 측정합니다. 반면, 가변 저항은 사용자가 저항 값을 조정할 수 있는 저항기로, 다이얼이나 슬라이더를 통해 저항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미지의 저항은 고정된 값을 찾기 위한 것이고, 가변 저항은 다양한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미지의 저항은 보통 값이 알려지지 않은 저항으로, 휘트스톤 브리지 같은 장치를 사용해 그 값을 측정합니다. 반면 가변저항은 사용자가 저항 값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로, 회로에서 특정 조건을 맞추거나 테스트할 때 사용됩니다. 간단히 말해, 미지의 저항은 측정이 필요한 대상이고, 가변저항은 저항값을 조정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두 저항 모두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사용 목적과 특성은 다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

    안녕하세요! 휘트스톤 브리지에 대해 질문 주셨군요. 전기회로를 배우다 보면 헷갈리기 쉬운 부분이죠. 휘트스톤 브리지는 미지의 저항 값을 정확히 측정하는 장치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미지의 저항가변 저항의 개념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미지의 저항

      • 정의: 정확한 값이 알려지지 않은 저항입니다.

      • 휘트스톤 브리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바로 이 미지의 저항 값을 측정하기 위해서입니다.

      • 저항 값이 고정되어 있으며, 우리가 모르는 값을 휘트스톤 브리지로 찾아내는 것입니다.

    2. 가변 저항

      • 정의: 저항 값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저항입니다.

      • 휘트스톤 브리지에서는 가변 저항이 기준이 되는 저항으로 사용되며, 미지의 저항과 균형을 맞추기 위해 값을 조정합니다.

      • 가변 저항을 돌려가면서 브리지가 균형 상태(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되면, 그때 가변 저항의 값과 비교를 통해 미지의 저항 값을 알아냅니다.

    정리해 보면, 미지의 저항은 값을 알고자 하는 저항이고, 가변 저은 그 값을 맞추기 위해 조절하는 기준 역할을 합니다. 휘트스톤 브리지는 두 저항 값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순간을 찾아 미지의 저항 값을 계산하는 원리로 작동하죠. 오늘도 유익한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휘트스톤 브리지에서 말하는 미지의 저항은 측정하려는 정확한 값을 모르는 저항으로 이를 다른 저항들과 비교하여 계산합니다. 반면, 가변저항은 저항값을 조정할 수 있는 저항으로 실험 중에 미지의 저항을 구하기 위해 조절되는 요소입니다. 즉 가변저항은 미지의 저항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