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떠한 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개입을 해주는것보다 지켜보는것을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할수있을만한 작은 일을 주고 이러한 것을 성공할때까지 지켜보는것이 좋습니다
아이 스스로 실패를 하고 잘못하면서 조금씩 스스로 어떻게 과정을 하는지 깨닳을수있기에
스스로 탐색하는것에 도움이될것입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생 때부터 엄마의 강요에 의해서 하는 아이들은 초등 땐 빛을 보고 존재감 있게 보이지만, 중학생, 고등학생이 되면 뒤떨어지게 됩니다.
초등때 공부에 관심이 없고, 존재감 없던 아이들도, 공부하는 방식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게 되면, 중학교 고등학교 때 치고 올라가서 자기 성적이 나옵니다.
뭐든지 꾸준히 책 읽고 끈기 있게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는 아이들이 결국엔 여러 방면에서 다 잘하는 것 같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진로 고민으로 보입니다. 진로정체성은 아이의 시기나 주변 역할모델들에 영향을 받아 수시로 바뀝니다. 우리 아아세대는 직업이 여럿될 수 있는 시대이기도 합니다.
부모님께서 아이 스스로 결정하길 원하시지만, 다소 허황된 진로를 찾거나 원치 않는 진로를 희망할 때 부모님이 개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은 내면적으로 진로정체성을 형성하지만, 주로 외부의 인물이나 활동, 경험에 의해 큰 영향을 받습니다.
일찍 정체성을 굳히는 것도 좋지만, 여러 직업과 관련된 경험들을 직, 간접적으로 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이 성장하는데 있어 주변사람들로부터의 사랑과 지지, 스스로에게 갖고 있는 긍정적인 자아상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교육심리학자 제르맹 뒤끌로는 ‘자아존중감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도전하며 희망으로 미래를 열어가는 에너지’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아이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야말로 자신의 능력이나 가치를 인식하면서 자신만의 성공스토리를 만들어 갈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자아존중감을 키워주기 위해서 부모님은 아이가 충분한 사랑을 받고 있다는 신뢰감을 주어야 하며,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인정하는 마음을 밑거름으로 하여 자신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찾아 볼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어야 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