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금 선납이연 이렇게 해도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2024년 1월 31일 우리은행의 `우리 퍼스트 정기 적금`을 가입하였습니다.
기본 4% + 우대 3% = 총 7%
보통 6-1-5로 선납이연을 진행하시던데,
저는 1월 31일에 가입하여 500,000원을 입금한 뒤 하루가 지난 2월이 되어서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ㅜ
그래서 아래와 같이 1-6-5 선납이연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6의 자동이체는 우대금리 조건에 포함되어있어서 설정해둔겁니다!)
1) 2024.01.31 -> 500,000원 납입
6) 2024.02.01 -> 3,000,000원 납입 (500,000원 자동이체 + 2,500,000원 입금)
5) 2025.01.30 -> 2,500,000원 납입
위와 같이 1-6-5로 했을때
1. 6-1-5 방식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2. 1-6-5 방식에 문제가 있는지?
3. 1-6-5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을 추천하는게 있으신지?
4. 어떠한 n-n-n 방식이든 상관 없는것인지?
5. 등등..!
위와같이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6-1-5 방식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6-1-5 방식과 1-6-5 방식은 적금 납입을 앞당기고 늦추는 방식은 동일하지만, 납입하는 금액과 시기에 차이가 있습니다.
6-1-5 방식은 1개월차에 6개월치 납입, 7개월차에 1개월치 납입, 12개월차에 5개월치 납입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납입하는 금액이 가장 많기 때문에, 이자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1-6-5 방식은 1개월차에 1개월치 납입, 6개월차에 6개월치 납입, 12개월차에 5개월치 납입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6-1-5 방식보다는 이자수익이 적지만, 1개월차에 납입하는 금액이 적기 때문에, 목돈이 부족한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2. 1-6-5 방식에 문제가 있는지?
1-6-5 방식은 6-1-5 방식보다는 이자수익이 적지만, 특별한 문제가 없습니다. 납입하는 금액과 시기에 따라 이자수익이 달라질 뿐, 적금 상품의 기본 구조나 우대금리 조건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3. 1-6-5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을 추천하는게 있으신지?
1-6-5 방식은 목돈이 부족한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이자수익이 6-1-5 방식보다는 적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목돈이 부족하지 않은 경우라면, 6-1-5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 이자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4. 어떠한 n-n-n 방식이든 상관 없는것인지?
어떠한 n-n-n 방식이든 상관은 없습니다. 납입하는 금액과 시기에 따라 이자수익이 달라질 뿐, 적금 상품의 기본 구조나 우대금리 조건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5. 등등..!
1-6-5 방식을 활용하실 경우, 6개월차에 자동이체를 통해 3,000,000원을 입금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자동이체를 통해 입금하시면, 입금이 누락되는 등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5개월치 납입은 만기 직전일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기 직전일에 납입하시면, 이자가 최대한 많이 쌓일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