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제 사용은 보통 어떻게 처방하는지 궁금합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를 처리하는데 중요한약이라고하는데 보통 항생제는 약한거 쓰다가 차도가 없으면 더강하걸로
주는게 맞나요?아니면 증상에따라 왔다갔다하는경우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 질환이 아닌 세균감염을 치료하는 약입니다 항생제는 부작용도 많은 약이라 장기간 쓰다보면 내성도 생기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많은 제한이 따릅니다 보통 약한것보다는 증상에 맞게 처음부터 적절한 용량으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병관 내과 전문의입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에는 전혀 효과가 없습니다. 바이러스를 죽이려면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해야합니다.
항생제는 세균성 감염에 효과가 있고, 감염부위나 여러 상황을 고려해서 쓰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광범위 항생제를 초반에 쓰게 됩니다.
항생제에 효과가 없다면, 세균배양결과등을 가지고 조절하기도 하고, 말씀대로 더 쎈 (=내성균에도 효과가 있거나 커버 범위가 더 넓은) 항생제로 변경도 고려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우선 항생제는 바이러스가 아닌 세균을 죽이기 위한 약입니다.
항생제는 질환의 원인균에 따라 다르게 처방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세균 배양검사라는 것이 필요합니다.
어떤 세균에 의해 감염되었냐에 따라 처방하는 항생제의 종류가 다릅니다.
해당 세균을 죽이는 항생제를 처방했는데 효과가 없다면, 항생제 내성균으로 판단하고, 내성균까지 죽일 수 있는 다른 종류의 항생제를 처방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발바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병균들에 대해서 헷갈리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균에는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이 있습니다.
항생제는 이 병균들중에서 세균을 죽이는 약입니다.
항생제를 사용하는 방법은 의심되는 질환을 일으키는 호발 세균을 추정하고 그 세균을 죽일 수 있는 가장 가벼운 항생제를 먼저 쓴 후에 그게 안들으면 더 강한 항생제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약을 씁니다.
또는, 검사가 가능한 경우에는 배양검사를 하면서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고 내성이 없는 항생제를 선택하게됩니다.
아래 그림은 추정되는 세균이 따른 항생제 선택을 표시한 표입니다.
이런 과정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경험적 항생제라고 해서 상기도 세균 감염에 사용하는 항생제, 세균성 장염에 사용하는 항생제, 방광염에 사용하는 항생제 이렇게 상황마다 어떤 항생제를 사용해야하는지를 저희가 외우고잇고 이걸 경험적 항생제 선택이라고 표현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엄밀하게는 항생제는 바이러스가 타겟이 아니고 세균을 타겟으로 하는 약이며, 해당되는 질환에 따라 주로 사용되는 항생제가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고, 환자분 신장기능 상태에 따라서 용량과 기간을 정해서 투여하게 됩니다 중간중간 피검사를 통해 염증 수치 변화, 임상증상 호전도를 보아서 항생제 유지 및 중단을 결정하게 되며, 시행 전에 균 배양검사 결과를 시행하는 경우 균 배양 검사 결과에 따라 항생제 종류를 조정하기도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항생제 처방은 일반적으로 감염된 균이 어떤 것인지에 따라서 사용을 하게 됩니다.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항 바이러스제를 사용하게 되며 세균의 경우에도 그 세균에 효과적인 항생제를 쓰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의료진이 경험적으로 처방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항생제 사용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항생제는 바이러스가 아닌 박테리아(세균)을 없애기 위한 약으로, 세균 감염증을 의심하는 상황에서 처방됩니다. 항생제에는 약하고 강함의 강도가 존재하지 않고, 각 항생제가 잘 작용할 수 있는 균의 종류가 정해져있습니다. 따라서 특정한 감염증이 의심될 때, 해당 질환을 흔히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항생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편이고, 이를 경험적 항생제라 부릅니다. 경험적 항생제에 대부분 반응하지만(질환이 치료되지만) 일부에서는 질환이 나아지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질병을 일으킨 균이 해당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거나, 의심하던 질환이 아닌 다른 질환이 원인이 된 상황일 수 있으므로 세균에 대한 검사나 추가적인 영상검사, 혈액검사 등을 고려하게 됩니다. 이러한 검사에서 균이 밝혀지거나 다른 질환이 발견되면 기존의 항생제를 더 적합한 항생제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물론 일차의료기관(의원)에서는 이러한 검사가 제한적이므로, 상황이 심각하지 않다면 항생제를 다른 종류로 우선 바꾸어보는 시도를 먼저 할 수도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본 답변은 진료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바이러스의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합니다
항생제는 세균 그러니까 박테리아를 대상으로 사용합니다
질환에 따라서 사용할 항생제 처음에는 뭘쓰고 이후 차도가 없으면 뭘쓰고 기저질환에 따라서 뭘쓰고
매뉴얼이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진단이 중요한 것이며 그에 따른 항생제 사용은 거의 자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단지 중간중간 모니터링을 하는 꼼꼼함이 필요하겠습니다.
항생제는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약물이 아니라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약물입니다. 어떠한 종류의 감염인지에 따라서 경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가 기본적으로 차이가 나게 되며, 만약 경험적 항생제로 제대로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배양 검사에서 항생제 내성 검사를 하여서 감수성이 있는 종류의 항생제를 사용하여서 치료를 하는 것이 다음 단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