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살부터 아이가 공부에 소질이 있는지 없는지 알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몇살부터 아이가 공부에 소질이 있는지 없는지 알수있을까요
공부에 소질이 없으면 빨리 다른쪽에 재능이 있는지 확인을 해야 할탠데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공부에 소질이 있는지 없는지 알기는 쉽지 않을것 같습니다. 이는 나이와는 상관없이 아이를 잘 관찰을 해주셔야 될 것 같습니다. 아이가 어떤 분야를 잘 하는지를 계속해서 지켜봐주셔야 소질이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있을것 같습니다. 우리 아이를 너무 푸쉬하지는 말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학습에 소질이 있는지의 여부는 아이가 6세~7세 정도 되었을 때, 아이가 학습을 하는 태도를 보고 케치 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학습을 하는데에 집중력을 가지고 있다면 아이는 학습에 대한 소질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학습에 대한 흥미과 관심을 보이는지 여부도 살펴보면 아이가 학습에 대한 소질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가 판단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초등학교때 공부를 못하다가도,
중/고등학교때부터 필요성을 느끼고 열심히 하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두시고,
초등학교때 체험학습/직업체험들을 통해 아이의 재능을 찾도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은 가능성에 무궁무진하기 때문에서 부르게 어린 나이에 단정 지을 순 없습니다. 항상 시시각각으로 변하기 때문이죠. 다만 조심스럽게 예상해 볼 수 있는 시기가 있는데요. 유치원 시절에 학교 입학하기 전 한글 공부와 수학 관련된 기초 학습을 할 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습득 능력과 이해 능력이 높다면 향후 기대해도 좋을 겁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공부에 대한 소질이나 재능을 확인하는 데는 특정 나이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대체로 초등학교 3학년 시기부터 이러한 재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곤 합니다.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공부소질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형성되기도 하며 성장단계에서 어떻게 변할지 모르기 떄문에 정확한 나이를 판단하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배움의 과정에서 학습에 대한 욕심이나 능력외에 관심있어 하는 것이나 잘하는 것이 보일수 있기 때문에 미리부터 무언가를 선택해야지 하는 것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고 선택할수 있게 기다려주고 지지나 격려 대안을 제시해주셔도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교 2~3학년에는 공부에 관심이 있는지 보면
알 수 있고 숙제를 하는거 보면 어느 정도 알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6학년 까지는 조금만 열심히 해도 점수가
잘 나옵니다 중2~3학년 되면 어느 방향으로 갈지
알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배우는것이 빠르고 기억력이 좋고 창의력이 뛰어난것들이 타고나는 아이들도 있는 건 맞습니다. 하지만 그 부류를 최상위권으로 가정할때 상위권 중상위권은 그런 소질이 없더라도 충분히 좋은 학습습관과 태도로 갈 수 있습니다. 그러니 어린나이에 미리 아이의 능력을 한정짓지말고 다양한 가능성을 보고 도전하고 경험해보게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몇살부터 소질이 있냐기보다는 부모님께서 키우시다보면은 아이 머리가 비상하게 회전하는걸 느끼실때 공부 소질여부 파악되실겁니다~아무느낌 없으시면 평범하다고 생각하심 되요~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공부에 재능이 있는지 없는지는 초등학교 5-6학년이 되어서야 서서히 알수 있을것이고 중학교 공부가 진짜 입시의 기초라고 보시면 됩니다. 공부에 소질이 없다고 해서 공부를 안시키는것은 좋은 교육방식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경우는 7-8살 정도만 되어도 아이가 공부에 흥미가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책 읽는 것을 좋아한다든지, 수놀이를 좋아하는 아이는 공부를 잘할 확률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