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물감이 입에 들어간경우, 특별히 소화기증상 없으면 괜찮나요?
부모님이 미술을 하셔서
집에 유화물감이 많은데
잠시 자리를 비운사이 유화물감통이 열려져 있었어요.
만2세아이를 키우고 있구요
손에 묻어있거나 입에 묻어있는건 없는데
만약에
유화물감이 입에 들어간경우, 특별히 소화기증상 없으면 괜찮나요.
일주일정도 지켜봤는데 컨디션은 똑같가됴!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입에 들어갔더라도 소량이고 소화기 증상이 없으며 아이 컨디션이 평소와 같다면 큰 문제는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물감에는 납이나 카드뮴 등 중금속이 포함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주일 간 아무 증상이 없다면 추가 문제는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유화물감은 독성이 있을 수 있으니 아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세요. 혹시라도 이후에 소화기 증상이나 비정상적 행동이 나타난다면 병원을 방문해 의사와 상담하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입에 묻지 않고 유화 물감을 먹기는 어려워보이는데 설령 먹었다 하더라도 굉장히 소량이기 때문에 증상이 없다면 그리 큰 걱정은 안하셔도 될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현대의 유화물감은 대부분 독성이 낮게 제조됩니다. 완제품 상태의 물감은 독성이 약화되어 있어 소량 섭취 시 심각한 위험은 적습니다.
소화기 증상: 특별한 소화기 증상이 없다면 대부분의 경우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토,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관찰 기간: 일주일 동안 아이의 컨디션을 지켜보셨다고 하니,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유화 물감이 아이의 입에 들어갔을 가능성에 대해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다행히도, 아이가 특별한 소화기 증상이 없다면 걱정을 많이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소량의 유화물감이 몸에 들어갔을 경우, 즉각적인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아이의 컨디션이 평소와 다르지 않다면 더 안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후에도 아이가 피곤해 하거나 불편을 호소한다면 주의 깊게 살펴봐 주세요.
물감을 다루게 될 환경에서는 아이의 손이 쉽게 닿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아이가 안전한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물감이나 기타 유해 가능성이 있는 물건은 아이의 접근이 어려운 곳에 보관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소량 섭취한 것 때문에 일반적으로 건강이 해쳐지거나 문제가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또한 현재 상황에서는 섭취를 하였는지 여부부터 명확하지 않으며 아이가 아무런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특별히 걱정하거나 할 필요는 크게 있어 보이지 않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