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베트남 상호관세 합의라는데 우리 기업에는 악재일까요
미국과 베트남이 서로 관세 합의해서 기본은 20% 유지하고 우회 수출은 40%라고 했다던데 이게 우리 기업들이 베트남 통해서 미국 가는 수출 구조에는 위험 요인이 되는 건가요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베트남이 관세 합의로 기본 20%, 우회 수출 40%를 적용한다는 건 베트남을 경유한 우회 수출을 강하게 견제하겠다는 의미라 우리 기업에도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한국 기업이 베트남 생산기지를 활용해 미국 시장에 진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구조에서 원산지 기준을 엄격히 따지면 추가 비용이나 제재 위험이 생깁니다. 다만 베트남 현지 생산이 진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형태라면 정식 원산지 인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단순 우회 거래와 구분해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게 현장 반응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베트남이 관세 합의를 맺었다는 얘기가 나오니 우리 기업 입장에서는 불안하게 느껴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베트남을 경유해서 미국으로 가는 수출 구조를 활용하던 업체라면 더 그렇습니다. 기본 관세 20퍼센트 유지라면 기존 부담이 여전히 크고 우회 수출에는 40퍼센트라는 조건이 붙었다면 사실상 제재 성격에 가깝습니다. 우리 기업 중 일부는 생산 거점을 베트남에 두고 미국으로 물량을 보내왔는데 이런 합의가 공식화되면 통상 리스크가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원산지 검증도 강화될 가능성이 있고 그 과정에서 시간 지연이나 행정비용이 커질 수 있습니다. 베트남 단순 경유 전략은 이제 리스크가 커진 구조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수출하여 베트남을 통해 미국으로 가는 수출 형태는 우회 수출이 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미국으로 직수출이 되며, 베트남을 거쳐 수출되지는 않습니다.
우리나라 기업이 베트남에서 생산하여 수출하는 물품은 국내산이 아니며 베트남산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과 미국 간의 관세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미국과 베트남 간의 관세만 영향을 미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중국산 물품에 대한 규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나라가 생산하여 수출하는 물품은 15%이며 베트남 생산 미국 수출 시에는 20%입니다. 이에 대하여 타국가 생산물품들은 굳이 환적을 베트남에서 할 필요가 없으며 다만 중국산 물품에 대한 원산지 택갈이에 대한 방지를 위한 규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