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기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상승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불경기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상승하는 추세에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이지 궁금합니다. 집값이 치솟는 원인에 대해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엽 공인중개사입니다.
불경기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상승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중앙은행의 저금리 정책은 대출 이자를 낮춰 주택 구매를 촉진합니다. 이는 주택 수요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집값 상승을 유발합니다.
인기 있는 지역에서 주택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재건축 규제 등으로 인해 공급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동산은 안정적인 투자처로 여겨지기 때문에, 불경기에도 자산을 보호하려는 사람들이 부동산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집값 상승을 부추깁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정책이 오히려 집값 상승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인상이나 대출 규제는 매물 감소를 초래해 집값을 올리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집값이 계속 오를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면, 불안감에 의해 매수세가 증가합니다. 이는 집값 상승을 더욱 가속화시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불경기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불경기라 하더라도 IMF나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와 같이 경제가 무너지지 않는 이상 공급이 부족해지고 수요가 끊이지 않는 지역이라면 부동산의 가격이 폭락이 오거나 하지는 않을 듯 합니다. 최근에는 비이상적으로 급격하게 올라간 상태에서 매수한 사람들은 많은 하락에 의해서 수요자들이 나타나지 않아 팔지도 못하며 힘들어 했었지만 지금의 경우는 또 다르지 않겠습니까.
대폭락이 오려면 IMF나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와 같이 전세계가 정말 힘들고 우리나라에 직격타를 때리는 등으로 경제가 많이 힘들어야 하지 그 외에는 물가상승 및 금리로 인한 비용증가 등에 의해서 가격이 방어를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실 요몇년간 매매보다는 잔월세를 선호했는데 전세사기로 인해 아파트를 많이 찾다보니 가격이 계속 올랐습니다
전세가가 오르더니 매매로 돌아섰는데 서울은 공급이 부족해서 가격이 오를거라 예상은 하고 있었습니다
올해나 내년에는 그래도 입주물량이 조금있는데 26년도에는 입주물량이 거의 없다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그때부터 더 오를 것이라 내다보고 있는데 미국의 영향으로 또 어떠한 변화가 올지 모르겠습니다
이제는 지역적으로 차별화는 심해질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지금 수도권에 일어나고 있는 부동산 가격 상승은 강남3구 및 마용성에 주로 일어 나고 있는 현상입니다.
수도권의 인구쏠림 공급대비 수요가 많고, 특히 임대차2법 4년 만기로 전세수요가 많으나 임대인들의 임대료 4년치 인상등의 요인으로 매매가 올라가고 있고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도 있습니다.
하지만 완벽한 부동산 상승이 될려면 금리를 인하하고, 정부의 규제가 풀리고, 대출이 풀려야 진정한 부동산 상승기가 올것입니다. 아직 지방은 미분양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희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최근 서울 인기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는 서울의 인구수에 비해 아파트 호수가 부족하기 때문이며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모여든 사람들이 대부분 아파트를 선호하고 있으며 서울과 인천에만 우리나라 인구의 24%나 되는 사람들이 살고있어 아직도 아파트의 공급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단순히 주택이 숫자가 충분하면 수요가 없을 것 같지만, 노후 불량주택보다는 직장에서 가까운 위치에 최신 시설이 갖추어진 새 아파트에서 살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많기에 신규 아파트의 공급이 계속 필요합니다. 특히 부동산이란 단어에서도 볼 수 있듯이 주택은 마음대로 위치를 옮길 수 없는 자산이라서 좋은 위치는 한정되므로 수도권의 신규 아파트 수요는 계속 존재할 것이고 건설에 오랜 기간이 걸리는 것과 기존 주택들이 노후화되는 것을 감안하면 계속 공급을 해야만 합니다. 수도권과 달리 지방에는 인구도 줄고 있고 직장도 많이 없으며 젊은이들이 좋아하는 장소도 제한적이라 점점 공가도 늘고 인기지역 위주로만 거주를 하게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미국의 양적완화로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렸습니다.
저금리 기조와 맞물려 갈 곳을 잃은 돈이 부동산으로 쏠리는 이유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