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생활의달인
생활의달인

무역 컨테이너로 같이 딸려오는 유충

예전 무역 컨테이너로 같이 딸려온 개미때문에 난리가 난적있지요.

뜬끔없이 갑자기 궁금한게 생겼는데,

무역 컨테이너로 같이 오는 해충으로는 어떤것들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해외 수출입 운송시 사용하는 컨테이너로 같이 오는 해충은 다양하다고 합니다. 컨테이너 내부나 제품 등에 붙어 있는 경우로 말씀 하신 개미가 나타난 것처럼 해충은 생물학적 위험이나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등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들 해충 중 대표적인 예를 말씀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먹이물에 의존하는 곤충: 먹이물을 찾아 피해 제품을 침해하는 곤충으로는 벌레류 중 침범벌레, 빨간비단벌레 등이 있습니다.

      • 건조에 강한 곤충: 건조 환경에도 적응할 수 있는 건조성 곤충으로는 나방류 중 곡물벌래 등이 있습니다.

        밀리충: 방제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고 있는 해충입니다.

      • 벼락채벌레: 방제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나무에서 나오는 이물질을 먹기도 합니다.

      • 쥐딱나무 밀집해충: 식물에 해를 끼치는 해충입니다.

      • 나방류: 나방의 애벌레들이 식물을 먹으며 성장하기 때문에 식물에 해를 끼치는 해충입니다.

      무역 컨테이너에 들어있는 해충은 그 종류와 수가 다양하기 때문에 계속하여 증가 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2018년 검역관이 현장검역 과정에서 컨테이너 내부에서 코드린나방의 어린 유충이 발견한 바 있습니다. 당시 알이나 성충(나방)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정부는 식물방역법 및 우즈베키스탄과 합의된 약정에 따라 우즈베키스탄 전 지역에서 생산·재배되는 체리에 대해 일시적으로 수입을 금지하였었습니다. 코드린나방은 기주식물(먹이식물)뿐 아니라 사과, 배, 복숭아 등 과실류에 피해를 주고 생태계 교란까지 일으킬 수 있어 식물방역법상 국가가 관리하는 금지병해충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평택항 동부두 신평택컨테이너터미널에서 붉은불개미가 발견돼 검역당국이 정밀조사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검역관들이 중국발 수입 컨테이너를 대상으로 해외 유충 유입 여부를 점검하던 중 콘크리트 바닥에서 붉은불개미 5마리를 발견했습니다.

      이처럼 컨테이너로 딸려오는 유충의 종류는 다양하며 사회 안전에 심각한 교란을 끼칠 수 있는 경우에는 뉴스에서까지 대대적으로 보도되곤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병해충의 유입경로가 전세계에서 다양할 것이고 해당 국가에서 서식하는 병해충의 종류가 굉장할 것이라 딱히 특정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병해충은 일반적으로 식물 등 검역이 이루어지지 않은 물품을 통해 반입되기 때문에 식물방역이 굉장히 중요하고 이에 관하여 농림축산식품본부의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qia.go.kr/viewwebQiaCom.do?id=40628&type=3_14jyzk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러한 경우는 컨테이너를 제대로 청소하지 않거나 방역하여 일어나는 문제로, 해외의 여러가지 해충이 유입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해충의 종류로는 바퀴벌레, 거미, 지네, 좀벌레, 사마귀, 전갈 등이 있으며 이러한 종들은 외래종이기에 우리나라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수 있는 해충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해당 부분에 대하여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자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 세관의 인력한계, 선사의 방임 등으로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