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긴지액 25ml 속쓰림 있을 때만 먹어도 되나요?
식도염 한 달째인데 엄청 심한 수준은 아니어서 식전 식후 속쓰림이 동반될 때가 있고 아닐 때가 있어요.
알긴지액 식전 30분~1시간 사이에 복용하는데 속이 안 쓰릴 땐 먹으면 오히려 울렁거리는 것 같더라고요.
속쓰림 있을 때만 선택적으로 먹어도 되나요? 처방받을 땐 하루 세번 먹는 거라고 해서 속쓰림 없어도 먹곤 했는데 울렁거림이 너무 힘들어서.. 혹시 속쓰림(위산과다) 없는 상태에서 저 약을 복용해서 울렁거림 부작용이 생기는 건지 궁금해요.
더불어 식도염의 원인은 위산과다뿐인가요? 위식도괄약근 약해져서?
안녕하세요. 이경미 약사입니다.
식도염은 식도괄약근이 약해져서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올수있는 원인입니다.
액상위장약은 필요할때만 드셔도 괜찬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알긴산나트륨 5g/100mL 성분의 알지긴액의 경우 위산을 중화하는 역할이며 속쓰림이 있을때 필요시에만 복용해도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역류성식도염이 발생하는 이유는 위산이 역류하여 식도를 자극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위산이 역류하는 이유는 식도괄약근이 약해지거나/맵거나 짠음식을 주로 먹거나/식사 후 바로 눕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은 경우/ 카페인음료를 자주 먹는 경우 발생합니다.
알긴지액은 알긴산이 함유된 점막보호제로, 해당 약을 처음 드신다면 우선 증상이 호전될때까지 매일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속이 약간 울렁거리는 경우 증상이 생길때만 드셔도 괜찮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알지겐액은 가슴이 아프고 답답할 때만 드셔도 됩니다.
기본적으로 식도염 치료약은 알약이니 알약은 꼭 챙겨드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알지겐액은 속이 쓰리거나 신물이 올라올때마다 드셔도돼요.
공복에 드셔야 효과가 가장 좋아요.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식도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 위산과다 및 위식도괄약근이 약해져서 모두 가능하나 이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알긴지액의 경우에는 속쓰림이 있을때만 드시는 것이 좋으며 장기간 꾸준히 드시는 제품은 아닙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식도염 증상이 올라올때마다 복용하셔도됩니다. 계속 지속하지 않으면 필요할때만 복용하셔도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알긴지액<알긴산나트륨 50mg/mL>
해당 의약품은 속쓰림 증상이 있거나 역류증상이 느껴지실 때 복용하셔도 됩니다.
식도염의 원인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되어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위식도 괄약근이 약해지는 것이 주된 이유이지만 위산이 이를 악화시키기에
위산이 과다해지는 것을 주의하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1 위산 및 펩신으로부터 위·식도 점막을 보호하고, 상부소화관 출혈시 지혈작용을 나타내는 약으로 울렁거림은 약때문이 아닌 것 같네요
----------------------
성분 별 약효
Sodium Alginate : 소화기계질환 > 소화성궤양 치료제 > 점막보호제 > 기타
효능
1. 다음 질환의 지혈 및 자각증상의 개선 : 위ㆍ십이지장궤양, 미란성위염
2. 역류성식도염의 자각증상 개선
3. 위 생검 출혈시의 지혈주의사항
1. 다음과 같은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즉각 중지하고 의사, 치과의사와 상의할 것. 상담 시 가능한 한 이 첨부문서를 소지할 것.
때때로 설사, 변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2 식도염의 원인은 위산과다보다는 위식도괄약근 약해져서가 더 큰 원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알긴지액은 위에서 부유거품을 형성해서 산이 위식도 괄약근을 뚫고 역류하지 못하도록 장애물 역할을 해줍니다. 증상이 없더라도 복용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식도염은 위식도괄약근이 느슨해지는 경우 생기는데 평소 카페인, 양파나 마늘이 많은 음식, 음주, 과식, 야식먹고 눕는 습관 등이 원인이 됩니다.
생활습관병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자주 그러시면 점막을 강화시켜주는 히알루론산을 복용하시면 산이 역류를 해도 점막이 보호막을 해줘서 증상이 심하지지 않는 경우들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