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장군의 전쟁 전략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임진왜란때 이순신장군은 해군에서의 전쟁은 무적이었는데요, 어떻게 적은 수로 많은 수를 무찔렀는지 전쟁전략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전쟁 전략으로 '학익진'이라는 전술이있었습니다. 이순신은 자신의 함선을 학처럼 펼쳐 일본 함대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전투를 전개했습니다.
이 전술은 좁은 해역에서 적의 이동을 제한하고, 집중적인 포격을 가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한산도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이순신은 유리한 위치에 함선을 배치하고, 적이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전투가 시작되자 일본 수군은 수적으로 우세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순신의 전술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조선 수군은 기습적으로 일본 함선에 포격을 가하며 전투를 전개했고, 적군은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순신은 전투 중에도 부하들과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전투를 효율적으로 지휘했으며, 자신의 전략을 유연하게 조정하며 상황에 대응했습니다.
한산도 대첩의 결과는 조선 수군의 대승으로 귀결되었습니다. 일본 수군은 큰 피해를 입고 후퇴하였고, 이로 인해 일본의 해상 진출이 크게 저지되었습니다. 이 전투는 조선의 해상 주도권을 확보하는 데 큰 기여를 했으며, 이후 전투에서도 조선 수군이 보다 강력한 저항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임진왜란 시기 고려의 육군은 제대로된 전투도 하지 못한채 파죽지세로 진격하는 왜군을 막지 못했습니다. 그리하여 수도가 함락 당하고 선조는 누구보다 빠르게 도망을 갔죠. 하지만 수군은 달랐는데요. 이순신 장군은 이에 대비하여 수군을 훈련하고 함선을 정비하였으며, 거북선 또한 이때 등장하게 되는 것이죠.
무엇보다 이순신 장군은 싸워야 할 때를 알고, 싸우지 말아야할 때를 알고 있었죠. 조선수군에 유리한 시간, 위치를 갖추고 왜군이 들어왔을 때 싸워 이겼습니다. 당시 조선 수군은 판옥선이라는 상당히 큰 규모의 함선을 사용하였는데, 바닥이 뾰족했던 일본수군의 배와는 다르게 평평한 형태였기에 물 위에서 방향을 빠르게 바꿀 수 있었기에 방향을 빠르게 바꾸어 포를 쏘기도 했고, 강한 판옥선의 선체를 이용하여 일본수군의 배와 부딪혀서 파괴하기도 했었습니다.
병력과 힘을 아끼고 또 아끼고 싸우면서 힘을 지켜내던 조선수군도 선조의 아주 멋진 결정으로 인하여 원균이 조선수군을 이끌고 칠천량해전에 나아갔다가 대부분의 함선을 잃고 12척의 배만 남았던 전투가 있었고 이에 철면피 선조는 이순신에게 사과하며 다시 수군을 맡아 달라했습니다. 하지만 우리 선조는 역시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수군에게 육군과 합류해서 바다를 버리라는 결정을 하였는데 이수신 장군은 그 유명한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함선이 있습니다.. 라는 상소를 올리고 추가로 1척을 추가해서 13척의 배로 명량해전에 나아가 일본수군 함선 300척 이상을 침몰 시켜버렸습니다.
제 생각은 조선 수군이 강했던 것은 잘 훈련된 병사도 필요하고, 함포도 필요했고, 판옥선이라는 함선도 훌륭했지만 이순신 장군이 있었기에 결과가 승리로 끝났다라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좋은 재료도 요리사가 실력이 떨어지면 안 되듯이 완벽한 요리사 이순신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