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톱무좀은 일반무좀과 무슨차이가 있나요?
발톱무좀약이 간장에 엄청 해롭다는 말을 얼마전에 들은적이 있는데 일반무좀에서는 먹는약 이야기를 들어본적도 없고 또 간에 손상이 있다는 말 역시 들어본적이 없는것 같거든요. 명칭이나 부위로 봐선 비슷한건 같은데 이 둘의 차이는 무었이며 그 치료법은 또 어찌 되는지 상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발톱 무좀과 일반 무좀이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무좀은 그냥 무좀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피부 질환입니다. 다만 발톱 밑에 무좀이 생긴다면 바르는 무좀약으로 잘 치료가 되지 않기 때문에 치료가 잘 되지 않으면 먹는 항진균제를 복용하며 치료를 하여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몸에생기는 무좀은 체부백선이라고 합니다.
상대적으로 치료가 잘 됩니다.
플루코나졸 같은 약만 6개월 정도 먹어도 많이 호전이 됩니다.
발톱무좀은
무좀균이 발톱의 케라틴 층을 침범하여
잘죽지 않습니다.
쥬블리아 외용액이나 플루코나졸 루눌라 레이져 등을 써도
대부분 1년이상의 치료기간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발톱 무좀약이 간에 좋지 않다는 이야기는 너무 오래 전의 이야기입니다. 최근에 사용하는 약은 간독성이 거의 없답니다. 참고로 저도 간기능 이상 없이 복용하고 있구요.
일반 무좀은 발가락이나 발바닥에만 있는 무좀을 의미합니다. 바르는 연고로도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지요. 발톱 무좀은 무좀약을 발라도 발톱에 침투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먹는 약을 오래 먹어야 치료가 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발가락 무좀은 연고 1달, 발톱 무좀은 먹는약 6개월 이상(주 1회) 드시면 됩니다. 간단하죠?
발톱 무좀의 경우 발이나 발가락의 무좀과는 달리 바르는 약 만으로는 감염 부위에 충분히 약이 도달하지 못하여 치료 효과가 불완전 할 수 있습니다.
최근의 경구약은 간기능 이상의 발현이 흔하게 일어나지는 않으며, 약을 복용 하시면서 혈액검사를 시행하여 간기능 등에 이상이 생기는지 여부를 확인하시면 안전하게 약을 드실 수 있습니다. 발톱의 경우 손톱 보다 자라는 속도가 느려 치료 기간이 수개월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치료 기간을 맞추어 끝까지 복용하시고, 외래에서 경과 관찰하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