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시설로 전기를 생산하는데, 태양광시설에는 어떤 부품들이 들어가며, 전기를 어떻게 생산하는지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친환경에너지, 신재생에너지와 관련해서 한동안 정부에서 많은 지원책을 지원해줘서
한동한 태양광시설이 붐을 일으켰는데, 태양광시설을 하는데 어떤 부품들이 들어가고 태양광시설로
생산하는 전기는 어떤 방법으로 만들어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태양광 시설은 태양빛을 전기로 바꾸는 장치를 말합니다.
태양전지(솔라셀)는 빛을 받으면 전자를 이동시켜 전기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 태양전지는 모듈 형태로 배열되어 더 많은전기를 생산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직류(DC) 전기로 만들어진 전기는 인버터를 통해 교류(AC)로 변환 됩니다.
이렇게 변환된 전기는 가정이나 산업시설, 전력망에 공급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태양광시설에는 태양광모듈(패널), 인버터, 배터리, 충전 컨트롤러, 배선, 구조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양광의 원리는 광전효과로 태양광전지가 태양빛을 받으며 태양광 전지 내부의 반도체가 전위차를 발생시키면서
외부 회로로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는 인버터로 연결되어 사용이 가능한 교류로 변환되어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태양광 시설은 친환경 에너지 생산의 핵심이고, 주요 부품으로는 햇빛을 전기로 바꾸는 태양광 패널, 여기서 나온 직류 전기를 우리가 쓰는 교류로 바꿔주는 인버터가 있습니다. 패널을 고정하는 구조물과 전선을 연결하는 장치 등도 필수적이죠. 전기를 생산하는 원리는 '광전 효과'입니다. 태양광 패널의 반도체에 햇빛이 닿으면 전자가 움직여 전류가 발생하게 되며, 이 직류 전류를 인버터가 교류로 변환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한때 보급이 활발했던 이유도 이런 친환경적인 장점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