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넉넉한기린210
넉넉한기린21024.04.11

GDP디플레이터란?무엇인지 설명해주세요

경제금융 용어중에 GDP디플레이터란? 무엇인지 정의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그리고 우리에게 어떤영향을 끼치는지도 간략하게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사후적으로 계산하는 값으로 국민소득에 영향을 주는 모든 물가요인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물가지수로서 GDP라는 상품의 가격수준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사후적으로 계산하는 값으로 국민소득에 영향을 주는 모든 경제활동을 반영하는 종합적 물가지수를 말하네요


  •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 디플레이터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계산하는 지표입니다.

    이는 국내총생산(GDP)의 가격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써,

    물가 변화를 고려하여 경제 성장률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GDP 디플레이터의 영향

    • 높은 GDP 디플레이터: 높은 GDP 디플레이터는 인플레이션이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구매력 감소: 소비자의 구매력이 감소하고, 가계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합니다.

      • 금리 상승: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할 수 있습니다.

      • 기업 투자 감소: 기업의 투자 활동이 위축될 수 있습니다.

    • 낮은 GDP 디플레이터: 낮은 GDP 디플레이터는 디플레이션, 즉 물가 하락을 의미하며, 이는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구매력 증가: 소비자의 구매력이 증가하고, 가계의 경제적 부담이 감소합니다.

      • 금리 하락: 중앙은행은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금리를 인하할 수 있습니다.

      • 기업 투자 증가: 기업의 투자 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 디플레이터(GDP Deflator)란 한 나라의 인플레이션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구체적으로는 한 나라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재와 서비스의 전년도 대비 가격 변동분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GDP 디플레이터 = (명목 GDP / 실질 GDP) x 100

    여기서 명목 GDP는 당해연도 가격으로 평가된 생산액이고, 실질 GDP는 기준연도 가격으로 평가된 생산액입니다.

    GDP 디플레이터가 100보다 크면 전년 대비 물가가 상승했음을, 100보다 작으면 물가가 하락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GDP 디플레이터가 105라면 전년 대비 5%의 인플레이션이 있었다는 뜻입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경제 전반의 인플레이션 수준을 나타내므로 가계나 기업의 구매력, 생활비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구매력이 낮아지고 생활비도 많이 들게 됩니다. 반대로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구매력은 높아지지만 경기가 위축되는 부작용도 있습니다.

    이에 따라 GDP 디플레이터는 중앙은행의 물가관리 정책, 금리 결정, 기업들의 가격전략 등에 활용되는 주요 지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국내총생산의 물가지수입니다. 이것은 특정 기간 동안의 국내생산 총액에서 물가 상승률의 영향을 제외한 순 실제 총생산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지 않은 순수한 실질적인 경제 활동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이는 GDP를 이름 그대로 "디플레이트"하여 물가 상승률의 영향을 제거함으로써 실질적인 경제 성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달리 모든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물가 변화를 반영합니다. 따라서 경제의 전반적인 물가 수준을 평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GDP 디플레이터가 상승하면, 실질 GDP 성장률은 실제 성장보다 낮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사후적으로 계산하는 값을 말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사후적으로 계산하는 값을 말하는데, 이는 국민소득에 영향을 주는 모든 물가요인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물가지수라고 볼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국내총생산(GDP)에서 가격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일정 기간 동안의 생산물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반영합니다. GDP 디플레이터는 소비자물가지수와 달리 투자재, 수출입 등을 모두 포함한 광범위한 경제 활동을 반영합니다. GDP 디플레이터가 상승하면 경제가 인플레이션에 직면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와 기업에 물가 상승 압력을 줄 수 있으며, 통화가치 하락과 경제 불안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GDP 디플레이터란 것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GDP 디플레이터란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모든 물건의 가격이

    얼마나 뛰었나 조사를 하는 것입니다.

    방법으로는 명목 GDP와 실질 GDP를 이용해서 계산하는 것으로 공식은

    GDP 디플레이터 = (명목GDP/실질GDP)*100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