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지혜로운숲제비266
지혜로운숲제비26624.03.10

수면내시경 할 때 마취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고 내시경을 할 때 반사적으로 구역질이 나오는 경우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나이
5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수면 내시경을 할 때 가스를 마시고 잘 때가 있고 주사 약물로 잠을 잘 때가 있는데 그 종류와 차이가 어떤 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수면 마취를 하고 입에 호스를 넣을 때 반사적으로 구역질이 나오는 경우에는

어떻게 조치를 해주시는 건지 궁금합니다.

가스와 약물 중 어떤 것이 반사적인 구역질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수면 내시경을 할 때 가스를 마시고 잘 때가 있고 주사 약물로 잠을 잘 때가 있는데 그 종류와 차이가 어떤 지 궁금합니다. --> 수면내시경은 모두 주사약물로 합니다. 가스를 마시고 하지는 않습니다. 가스를 마시는 것은 수술할 때 전신마취시 사용합니다. 차이는 전신마취는 자가호흡을 하지 않고 수면마취는 자가호흡을 합니다.

    그리고 수면 마취를 하고 입에 호스를 넣을 때 반사적으로 구역질이 나오는 경우에는 어떻게 조치를 해주시는 건지 궁금합니다. --> 스프레이로 국소마취제를 뿌리거나 액상을 입안에 머금고 있다가 검사를 받게 됩니다.

    가스와 약물 중 어떤 것이 반사적인 구역질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을까요? -->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수면마취에 가스로된 전신마취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수면내시경 시 사용되는 진정 방법에는 가스 흡입과 정맥 주사의 두 가지가 있습니다. 가스 흡입은 보통 아산화질소(N2O)와 산소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빠른 진정 효과와 함께 각성도 빠른 편입니다. 반면 정맥 주사는 미다졸람, 프로포폴 등의 약물을 사용하며, 더 깊은 진정 상태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 삽입 시 구역 반사는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에 구토 억제제를 투여하거나,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여 인후부의 감각을 둔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숙련된 의료진이 빠르고 부드럽게 내시경을 삽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스 흡입보다는 정맥 주사가 더 깊은 진정을 유도하므로 구역 반사를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적합한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불편감이 있다면 미리 의료진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욱현 의사입니다. 수면내시경을 할 때 마시는 가스는 아마 산소일 것입니다. 가스를 마시고 마취를 하면 내시경을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수면을 해도 구역 반응은 뇌의 반사 작용이어서 반사작용 자체를 없앨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수면내시경을 할때 가스를 마시고 자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대다수의 의원 병원에서는 프로포폴 이나 미다졸람이라고 하는 주사 약제로 수면치료를 시행합니다.


  • 소위 수면마취라고 부르는 것은 실제로 마취를 하는 것이 아니라 진정수면제를 투여하여 피시술자가 잠을 자도록 한 이후에 시술을 하는 진정과정입니다. 가스를 마시고 수면 내시경을 한다는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구역질이 나오는 것은 개개인마다 차이가 있는 부분이며 진정 약물과는 크게 관계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