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꼼꼼한뜸부기233
꼼꼼한뜸부기23323.08.02

제가 수면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일까요?

나이
2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우울증약. 수면제
기저질환
우울증

본인은 중학생 때부터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으면 하루에 잠을 18시간 이상을 자는 등의 행동이 있었습니다. 커피를 마시는 등의 방법으로 흔히들 평균 수면시간이라는 것을 최대한 지키며 지내왔습니다. 성인이 된 지금은 한 시간 또는 삼십분 간격으로 잠에서 깨거나 충분한 수면을 못 자게 되었고, 우울증약과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습니다. 우울증약을 복용하고 나서 졸음이 온다는 것을 알고 있는데, 참을만한 정도의 졸음인 걸 알면서 자꾸 낮에 잠을 자게 돼요. 그러곤 알람 소리와 주변 소리도 듣지 못하고 4~5시간씩 낮잠을 잡니다. (밤에는 7~12시간씩 잡니다.) 꿈? 머릿속에서는 "이제 일어나야지"라는 생각이 드는데 꿈에서 쉽게 헤어나오지 못하고, 몸도 쉽게 일어나지 못합니다. 최근 우울증 약을 복용 하기 시작했다는 현실을 마주하며 개인적인 이유등의 스트레스를 받긴 했습니다. 이런 식의 수면 습관도 수면 장애에 속하는 것인지, 어떠한 생활습관으로 고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정신이 없어 두서 없이 글을 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먼저, 과도한 스트레스와 장기간의 부족한 수면은 신체와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수면은 우리의 생활 패턴과 정신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전에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많은 수면을 취하거나 수면 패턴이 불규칙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성인이 된 이후에도 충분한 수면을 얻지 못하고 낮잠을 잔다는 것은 수면 장애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의사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우울증 약과 수면제를 복용 중이신데, 이러한 약물은 수면 패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우선적으로 다음 사항을 고려해 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1. 정규한 수면 패턴 유지: 가능하다면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고, 잠들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하세요.

    2. 자연스러운 수면: 수면 약물에 의해 나타난 졸음이 강해질 때, 자연스럽게 잠을 자도록 하세요.

    3.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긍정적인 생활 습관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운동, 명상, 취미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