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심우도
심우도

지금 관세전쟁으로 전세계가 미쳐 돌아가는 듯 한데 물가 상승이 또 불가피할듯 한데 한국은 언제부터 가시적인 영향이 예상이 될련지?

지금 전세계가 관세전쟁이라 할정도로 관세에 미쳐 돌아가는 듯 한데

무역으로 먹고 살아야 하는 한국으로써도 이번에 역시 또 물가에 큰 영향을 피해 갈수 없을 듯 하더군요.

알루미늄 철강쪽 부품쪽 타격이 심각할껏이고 특히나 수입산 품목에 관한 모든 것들이 관세영향을 더 크게 받을듯하고 이런 현상들이 한국 물가에 우리 국민에게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언제쯤 부터 시작 이 될려는지가 참으로 걱정 스럽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상호관세에 대한 효과가 어떻게 될지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다만, 수입물가의 상승, 수출경쟁력 약화 및 수출 하락 등 글로벌 경제에서의 악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며, 세계 각국의 보복조치 또한 예상되고 있는 만큼 실제 부과가 이루어지는 9일까지 지속적인 협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세계적인 관세 전쟁의 여파로 한국 경제도 영향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철강, 알루미늄 등 주요 수입 부품의 가격 상승이 예상되며, 이는 제조업 전반에 걸쳐 생산비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들의 관세 부담이 소비자 물가에 반영되면서 생활비 상승으로 국민들이 체감하는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은 관세 조치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 몇 달 내에 가시화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와 원자재 비용 상승이 맞물리면서 하반기부터 물가 상승 압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한국은 무역 의존도가 높은 만큼, 정부와 기업 차원에서 대책 마련과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충격을 완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글로벌 관세전쟁 흐름 속에서 한국은 수출입 의존도가 높은 구조이기 때문에 그 여파를 피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미국이 철강, 알루미늄, 배터리 소재, 자동차 부품 등 주요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생산원가가 오르고, 이는 곧바로 소비재 가격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여기에다 수입 원재료에 대한 관세까지 높아질 경우, 제조업 전반의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중소기업과 소비자 모두에 부담이 가중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영향은 통상 13개월 내에 산업 현장에서 체감되기 시작하고, 36개월 안에는 유통망을 통해 소비자 가격에도 본격적으로 반영된다고 합니다. 특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가전제품, 자동차, 식료품 일부 품목은 빠르게 가격 인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전체 물가상승률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결국 이번 관세 충격은 단기적 비용 상승을 넘어, 중장기적으로 국민 생활비 전반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우려가 큽니다.

    감사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