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아하918765
아하918765

아이가 밤에 열이 안떨어지면 응급실 가야하나요?

성별
남성
나이대
13

중1이고 기칭을 많이햐그 열은 해열제를 먹으먼 잠까 땀흘리다가 다시 열이오르고 기침을 심하게 합니다. 이틀째 39도정도 인데 응급실을 가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기칭을 많이햐그 열은 해열제를 먹으먼 잠까 땀흘리다가 다시 열이오르고 기침을 심하게 합니다. 이틀째 39도를 넘나드는데 치료를 어떻게 해야할지가 궁금하셨군요

    네 맞습니다. 응급실이라도 좋으니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굳이 힘들게 버틸 이유는 없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중학생 자녀가 열이 나고 기침을 심하게 하고 있다니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현재 체온이 39도 정도로, 해열제를 먹은 후 일시적으로 열이 내렸다가 다시 오르는 상태라면 부모로서는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기침이 심해지면서 열이 계속되는 상황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선, 열이 계속 39도 정도로 높게 유지되면서 해열제에 반응이 없는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고열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의 경우 면역체계가 완전히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고열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이 있습니다. 기침이 동반된 상태이기 때문에 호흡기 쪽 문제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응급실에 가야 하는지 판단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아이의 전반적인 상태입니다. 만약 열이 내리지 않으면서 멍하거나 무기력해 보이거나, 기침으로 인해 호흡 곤란 증상이 있거나, 식사를 거부하고 수분 섭취가 어렵다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즉각적인 진료가 필요한 상황일 수 있습니다.

    또한, 병원에 가게 된다면 자녀의 증상 변화, 현재까지 투여한 약물, 열이 나는 기간 등을 의사에게 자세히 설명해 주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자녀의 상태가 빠르게 호전되길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아이의 열이 이틀째 39도 정도로 지속되고, 해열제를 먹으면 잠시 열이 떨어지지만 다시 열이 오르고 기침이 심해지는 경우에는 주의 깊게 살펴보시고 언제 병원 진료가 필요한지 타아밍 맞추시는게 중요합니다. 어렵기도 하구요.

    열이 계속 고열로 지속되고, 기침과 함께 숨쉬기 어려운 증상이 있다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을 듯 해요. 특히, 기침과 열이 이틀 이상 지속될 경우 감염이나 호흡기 질환이 원인일 수 있죠. 특히 39도 이상의 고열이 계속되면, 응급실에 가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응급실 방문이 필요한 경우는, 호흡곤란, 의식 저하, 발작, 피부 발진, 심한 두통 등 심각한 증상들이 동반될 때입니다. 열이 계속 떨어지지 않거나, 해열제를 먹고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병원에서 정확한 원인을 진단하고 필요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해요

    어린 아이의 경우, 감기나 독감, 세균 감염, 폐렴 등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