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월천로얄티
월천로얄티

부동산 임대 형태인 전세가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라고 들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에만 생기게 된 배경이 있을텐데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부동산 임대 형태인 전세가 우리나라에만 있는 제도라고 들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에만 생기게 된 배경이 있을텐데 그 배경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공인중개사입니다.

      개인적으로 좋은 질문이라 생각합니다.

      1. 전세 제도는 볼리비아에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전세계에 우리나라와 볼리비아 2곳에 존재하죠

      2. 이런 제도가 왜 우리나라에 유독 많냐?고 물으셨는데 -

      음모론적 이야기를 하자면, 부동산 거품을 위해서 입니다.

      개인이 대출받아서 집 사려면 40%~70%정도 대출가능하지만 (주로 부동산 1개에 대해서만 가능)

      이렇게 전세를 이용한 Gap 투자인경우 80%~90%까지도 가능하게 됩니다.

      또한 주택수도 제한이 없죠.

      적은 돈으로 투자가 가능하게 되고, 이는 부동산 경기를 활성화 시키죠

      3. 전세는 서민을 위한것이지만, 정작 부동산 가격을 올리게 되어 서민삶을 힘들게 하는정책이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정섭 공인중개사입니다.

      한국에서 전세가 제도적으로 발달하게 된 배경은 취약한 제도권 금융 구조로 인해, 사적 임대차 형태인 전세가 제도로 정착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전세 제도가 확산된 것은 1970년대 이후라고 봅니다. 산업화 과정에서, 일자리를 찾아서 농촌 인구들이 대거 대도시로 몰려 주택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한국의 전세 제도는 1970년대 경제 성장기 때 주택 가격이 가계 지불 능력보다 비싸고 주택 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시장 상황에서 형성됐습니다. 고도 성장기에 주택 구매 수요가 많았지만 대출 금리가 높을 뿐만 아니라 주택 금융의 미비로 대출 자체가 어려웠습니다. 당시는 매우 좋은 직장을 가지거나 하지 않으면 주택 소유자를 포함하여 일반인들이 제도권 은행에서 목돈 대출을 받기가 불가능하거나 매우 힘들었습니다.그리고 집을 가진 임대인도 임차인으로 부터 받는 월세, 사글세로는 목돈 확보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개인들은 돈을 빌릴 방법이 없었던 시대였습니다. 모든 자본이 산업, 특히 수출 산업 부문에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이러다보니 집주인들이 주택 구입 과정에서 모자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자기 집을 전세의 형태로 임대하는 관습이 생겨났습니다. 전세 보증금이 이자를 내지 않은 은행대출 역할을 한 것입니다. 고도성장기의 한국에서는 그 돈을 은행에만 넣어놔도 은행 이자가 10%이상 붙었습니다. 심지어 IMF 이전에는 은행 이자는 세금도 없었습니다. 세입자들도 시골에서 올라올 때 집이나 논을 팔아서 올라왔기 때문에 번거롭게 월세를 내기보다 목돈을 맡기고 사는 게 편리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처럼 전세는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도입한 제도가 아니라, 집주인과 세입자 서로 간의 이해가 맞아 떨어지면서 자생적으로 발생한 사적금융제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전세제도는 집주인과 세입자, 양쪽에 필요로 하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집주인인 임대인은 적은 자본으로 부동산을 보유할 수 있고, 레버리지 효과로 높은 자기자본 수익율이 가능하고 전세 보증금을 활용할 수 있는 만큼 무이자 차입이 가능하빈다. 또한 세입자(=임차인)도 매매보다 적은 돈으로 거주가능하고 부동산 하락에 따른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잇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정호 공인중개사입니다.

      우리나라는 외국과 달리 자녀가 결혼하고 독립 할때 부모가 일정부분 지원 하기 때문에 그자금으로 전세가 활성화 되지 않았나 생각 됩니다. 또한 우리나라 처럼 급속한 발전과 집값 상승이 이루어지는 경우 전세를 끼고 적은 자본으로 투자를 하는 경우도 먛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