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사일러스
사일러스

국가에 인구가 많으면 경제에 좋은것 아닌가요?

방금 어느 사이트에서 이집트가 망하기 직전이라는 타이틀이 떴는데, 이유가 인구가 너무 많아서라고 합니다.

경제학 수업 때, 인구가 많을 수록 잠재 성장력이 높아진다고 배웠고, 솔로우 잔차에서도 nk, 즉 인구수를 가정한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도 저임금에 많은 노동자들이 있는 상황에 제조기술이 들어가서 확 성장한 케이스고

    인도도 아마 그렇게 될거라고 예측들을 합니다

    인구많은데 기술력없고 임금만 높다면 망하겟죠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성장에 필요한 자원.기술.인력이 풍부하더라도 그를 뒷받침해줄수있는 인프라 사회적기반이 갖추어져있지 않다면 아무의미가없고 잠재력만 있늘뿐입니다.석유자원이 풍부한 나라도 정치적선택을 잘못해서 국가경제가 엉망인나라도 많고 북한도 자원은 풍부하지만 이를 채취할기술이 없고 인구많은 인도도 이제 시작이듯이 교육열이 있어야 밑바탕이된 지식이 사회에 기여할수 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구가 많은 것은 경제에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이점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구의 크기만으로 경제적인 성공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인구가 많을수록 내부 시장의 규모가 커지므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생산량을 증가시키며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인구가 많을 경우 인력 자원의 가용성이 높아지며, 다양한 분야에서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들이 훈련과 고용에 용이하며 경쟁력 있는 인재를 유치할 수 있는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인구가 많을수록 창조적인 아이디어와 혁신의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인재들이 모이면 아이디어의 다양성과 혁신적인 기술 개발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그런 주의해야 할 점도 있습니다. 인구가 많다고 해서 항상 인력 수급에 유리한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인구의 구성과 교육 수준, 노동 시장의 조건 등입니다. 적절한 인력 수급과 질적인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인구가 많을 경우 사회적 문제와 불평등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육, 건강, 사회적 보호 등의 분야에서 부정확하거나 불균형한 접근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공정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인구가 많으면 자원 수요가 증가하고 환경에 대한 압력도 커질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와 환경 보호는 중요한 과제가 됩니다. 그리고 환경 문제는 경제적인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적절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규모의 경우 개인의 소득수준(GDP)와 인구에 따라 경제되는 구조임에 따라 기본적으로 인구가 많으면 경제규모는 확대됩니다. 대표적인 국가가 중국과 인도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국가의 경우 노동 가능 인구가 많으면 내수 시장 활성화에도 도움이 되는 등 장점이 많습니다. 그러나 나라 경제가 붕괴 수준의 이집트 등의 국가에서는 많은 인구는 오히려 부담이 가중 될 수 있습니다. 부양해야 할 가족이 많은 가장이 수입이 줄거나 끊어질 경우를 생각 해 보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가 많다고 하여 너무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국민들의 소득이 어느정도 되고 구매력이 있어야

    유의미한 숫자이며 구매력이 없는 너무 많은 인구는 오히려 악재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구가 많을 수록 성장력이 높아지는건 어디까지나 국가가 모든 인구의 생산력을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는 인프라와 정책 등이 갖췄을 때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구가 많은 개도국은 각종 규제와 보이지 않는 신분제, 인프라 부족 등 으로 인해 인구 대비 성장률이 낮습니다.

    솔로우 잔차의 정의는 산출량의 변화중 노동이나 자본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니 참고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