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상시 혈압은 90-140 안쪽이라서 고혈압 초기 단계인데 약을 먹어야 하나요?
몇일전에 혈압이 갑자기 급상승한다는 측정결과가 나와서
오늘 병원에서 재보았는데
대략 90-137 정도 나오더라구요. 그런데 의사선생님이 혈압약을 먹어 보라고 하던데 먹어도 되나요?
아니면 운동으로 되는지 궁금 합니다.
혈압이 다소 높게 측정되고 반복된다면 혈압약을 복용하여서 조절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은 선택입니다. 일반적으로 흔히들 오해를 하는 것이 혈압약을 한번 복용을 시작하면 무조건 평생 끝까지 복용하여야 한다고 생각을 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혈압약을 복용하는 동시에 운동도 열심히 하고 생활 습관을 교정하여서 기저 혈압을 낮춘다면 이후에 약물 중단을 하고 약 복용 없이도 정상 혈압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수축기 혈압 137mmHg 는 1기 고혈압에 해당하며 90mmHg는(이완기 혈압이라면) 정상 범위로 보입니다.
1기 고혈압은 수축기 140mmHg 미만 또는 이완기 90mmHg 미만을 의미합니다. 약물치료 시작 기준은 심뇌혈관의 위험도나 표적장기 손상 유무에 따라 결정됩니다. 약물치료 전 시도해볼 수 있는 생활요법으로 말씀하신 운동과, 식이 조절이 필요합니다. 저염식단,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 병행으로 혈압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생활교정을 해보지 않은 상태라면 싱겁게 먹는 식습관, 하루 30분 이상 유산소운동, 체중감량을 먼저 해볼 수 있겠습니다.
생활교정으로 혈압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약을 먹는것이 적절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혈압은 사실 범위가 아니라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따로 있는데 이게 보통 정상이 120과 80 입니다. 만일 말씀하신게 137과 90이라면 이는 다소 높은 수치로, 고혈압의 초기 단계일 수 있습니다 (다만 만일 수축기 혈압 범위가 90-137이라면 완전히 다른 이야기가 됩니다)
만약 진료본 의사가 혈압약을 권유했다면, 이는 혈압을 안정시키고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일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조기에 관리하지 않으면 심혈관 질환 등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의사의 권유에 따라 약을 복용하는 것이 좋죠. 물론 운동도 혈압 관리에 도움이 되지만, 운동만으로는 고혈압을 완전히 해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우선 생활습관 개선으로 혈압을 낮춰보실지 아니면 바로 약물치료 할지는 담당 의사와 상의 후에 결정하는게 좋을 듯 합니다. 의문이 들면 다른 가정의학과 내과가서 검사 다시 받아보셔도 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