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반반한봉고191
반반한봉고19123.04.06

일본이 금리를 올리지 않는 자세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금리상승시키면 엔화가치상승 수출제동 단순 이 이유뿐만이 아니라 굉장히 많은 이유들이 있을 것 같은데

도대체 왜 일본은 전세계가 금리를 급하게 올리는 와중에도 금리를 상승시키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이에 대하여 자세한 답변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이 현재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일본이 겪고 있었던 '잃어버린 30년'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일본의 경우에는 다른 국가들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위기로 인해서 금리를 인상하고 있는 것에 비해서 여전히 -0.1%의 금리에도 불구하고 소비침체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소비침체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최근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러한 일본의 최근 인플레이션 상승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서 '엔-달러'환율이 크게 상승하면서 엔화의 가치가 하락한 것에서 기인한 것입니다.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원자재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는데 엔달러 환율이 상승하자 이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일본의 인플레이션 상승은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소비가 수반'된 인플레이션 상승이 아니다 보니 향후 엔달러 환율이 안정을 찾게 되면 자연스럽게 내려가게 될 인플레이션입니다. 그렇기에 일본은 소비침체가 엔화 가치하락에 따른 엔저 현상보다 더욱 심각한 경제 문제는 소비침체로 인한 문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일본 국민들의 소비침체는 더욱 심각해지고 -0.1%에도 소비가 살아나지 못했는데 그럼 향후에는 -2%이상의 기준금리를 내리더라도 지금 껏 겪었던 '잃어버린 경제상황'을 더욱 심각하게 겪을 수 있기 때문에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일본은 버블 붕괴 이후 수십년간 경제 침체에 빠져있었기 때문에 금리를 낮게 유지하는 경향이 있으며 높은 고령화로 소비심리가 낮기 때문에 물가 상승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 금리를 낮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일본은 지난 30년동안 극심한 소비침체로 인한 경기침체현상이 환율의 방어보다 시급한 상황이기 때문에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 정부가 금리를 올릴 수 없는 이유는 국가 부채가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일본은 다른 국가들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위기로 인해서 금리를 인상하였던 것에 비해서 소비침체가 심각한 상황으로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