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23.01.21

일본은 왜 금리를 올리지 못 하나요?

한동안 디플레 압박 속에서 물가가 하나도 오르지 않은 일본이 최근에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을 하고 있는데

왜 일본 정부는 금리를 올리지 못 하나요?

향후에 일본도 금리를 올리면

원화 대비 엔화 환율이 오를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이 현재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일본은 다른 국가들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제위기로 인해서 금리를 인상하였던 것에 비해서 소비침체가 심각한 상황으로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이라는 단어가 나오게 된 것도 이 소비침체로 인해 발생한 결과물입니다.

    일본의 최근 인플레이션 상승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서 '엔-달러'환율이 크게 상승하면서 엔화의 가치가 하락한 것에서 기인하였는데,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원자재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는데 엔달러 환율이 상승하자 이로 인해서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된 상황입니다. 일본의 인플레이션 상승은 다른 국가와 달리 '소비가 수반'된 인플레이션 상승이 아니다 보니 향후 엔달러 환율이 안정을 찾게 되면 자연스럽게 내려가게 될 인플레이션입니다. 그렇기에 일본은 소비침체가 더 심각한 상황이다 보니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은 현저히 낮은 상황이라고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만약에 일본이 기준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엔화 가치 상승으로 인해서 원-엔화의 환율도 상승하게 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에는 장기적인 디플레이션으로 인하여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 정부가 금리를 올릴 수 없는 이유는 국가 부채가 너무 크기 때문입니다.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일본의 국채 잔액은 작년 말 기준 처음으로 1천조엔을 넘었다고 합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부채 비율은 250%가 넘으며, 만약 금리가 1% 오른다면 일본 정부는 GDP의 2.7%를 이자로 지급해야 합니닼

    금리 인상이 재정부담 급증으로 직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물가상승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