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과감한발발이234
과감한발발이234

레버러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레버러지가

안녕하세요 과감한 발발이 입니다

레버러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여러 영상들을 보니

자기자본보다 대출 등을 통해 많은 돈을 굴리는 것이라는 데요

그럼 여러 레버러지 etf들이 있잖아요

이게 자기자본 수익률로 이렇게 하는 거라던데

잘 이해가 안됩니다

자기자본이 100만원이고

대출이 200만원일 때

10퍼센트 상승하면 자기자본 수익률은 30%지만

어차피 그냥 말장난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투자자금의 2배 레버리지일 경우,

    1%가 오르면 실제 수익은 2%가 되고

    반대로 1%가 떨어지면 실제 손실은 2%가

    됩니다.

    레버리지 비율에 따라 수익율 변동을

    계산하시면 되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대출 등을 활용하였기에

    이에 따른 이자를 제하더라도 이익을 상당부분

    본 것은 맞습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이 30%라고 하더라도 당연히 오르면 좋겟지만

    떨어질 확률도 있기에 저러한 방법으로 계산하는 것이 항상

    적절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이 100만원이고 대출이 200만원이라면 총 투자금은 300만원입니다. 만약 투자한 자산의 가치가 10% 상승하면, 자산 가치는 330만원이 됩니다. 이때, 대출금 200만원을 갚고 남은 130만원이 자기자본이 됩니다. 초기 자기자본 100만원 대비 30%의 수익률이 발생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심 레버러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100만원 자기 자본에 대출 200만원을 더해서 300만원으로 투자한 효과가 있기에

    10퍼센트만 올라도 실제로는 30만원 오른 것이라서 수익률은

    100만원 대비 30만원으로 30퍼센트가 맞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는 자기 자본보다 더 많은 돈을 빌려 투자하는 것으로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100만 원 자기자본에 200만 원을 대출받아 총 300만 원으로 투자를 했을 때, 10%의 수익이 나면 300만 원에서 30만 원의 이익이 발생합니다.

    이때 자기 자본 100만 원 대비 30만 원 수익이므로 자기 자본 수익률은 30%가 됩니다. 이 방식은 상승할 때 큰 이익을 줄 수 있지만 손실이 나면 더 큰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