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내내만족스러운도토리
내내만족스러운도토리

두돌 아기에게 TV가 부정적이기만 한 걸까요? 말이 안 터지네요.

23개월 남아입니다.

TV가 안 좋다고 해서 거의 틀어주질 않습니다. 가끔 심하게 떼쓸 때나 식후에 잠깐, 요즘은 기저귀를 안 갈려고 해서 큰일을 보고 나서는 TV를 켜 주면 얌전히 있어서 이 때 기저귀를 갈기 위한 용도로, 보통 3~5분 정도 틀어주는 게 전부입니다.

그런데 요즘 드는 생각이, 아직 아빠 정도만 정확히 하고 나머지는 그냥 웅얼거리기만 하는데, 어제 보니까 TV 앞에서는 TV가 하는 말을 일부 흉내 냅니다. 프로그램은 핑크퐁이나 뽀로로입니다. 주변이나 인터넷을 봐도 이맘 때 말이 많이 트이는 것 같은데, 그들은 TV의 덕이 아닌가 싶네요. 엄마가 많이 말을 하긴 하지만, 그것도 단어가 제한적이겠죠.

어린이집도 안 가고, 근처에 지인도 없어서 거의 종일 엄마랑만 지냅니다. 퇴근 후 아빠 잠깐이랑요.

TV 시청 시간을 늘리는 건 좋은 선택이 아닌가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두돌 아기에게 TV 시청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23개월 아이에게 TV 시청은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이가 TV 속 말을 흉내 내는 모습은 언어 자극에 반응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TV는 일방적인 자극이기 때문에 실제 언어 발달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부모와의 상호작용, 놀이, 책 읽기 등을 통해 직접적인 대화 경험을 쌓는 것이 언어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입니다
    양육자나 다른 사람과의 쌍방향의 소통 속에서 언어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티비 라는 매체를 장시간 보여주게 되면

    아이의 눈 시력 저하는 물론 이거니와 아이의 뇌.인지발달 저하 및 성격변화 형성 등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큽니다.

    현재 아이가 어린 경우에 적절한 부모님의 놀이제공 및 학습제공을 해주는 것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부분이 필요로

    합니다.

    아이의 언어적 발달을 향상 시키는 것인 미디어 매체가 아니라 부모님의 적극적인 언어적 자극 제공 입니다.

    또한, 티비 시청은 아이에게 학습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을 시청하는 것이 좋구요.

    적절한 시간을 정하고 티비를 시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티비 적정시간은 30분 ~1시간 정도가 적당 하겠습니다.

    아이에게는 지금 부터 언제까지 티비를 보고 티비를 끌 것임을 아이에게 미리 알려주고 티비를 시청하고

    티비를 off 하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두돌 아기에게 티비가 무조건 부정적인 건 아닙니다. 짧고 목적 있는 시청(5분정도)에서도 언어 흉내와 관심 유도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수동적 시청이 길어지면 상호작용 기회 감소로 발달에 제한이 생깁니다 지금처럼 엄마, 아빠와의 대화가 중심이면서 티비는 언어 자극 보조 수단으로 짧게 활용하는 정도가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말씀처럼, TV는 아이에게 새로운 단어를 알려주고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습니다. 눈 건강을 위해 시청 거리와 시청 시간을 조절하고, 또 유해하지 않은 건전한 콘텐츠 위주로 구성하며, 가급적 키즈 콘텐츠 위주로 아이가 보게 한다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즉, 무조건 나쁘다기보다는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