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

배터리가 연소하면 소화하기 힘든 이유가 무엇인가요?

전기차 배터리에 불이 붙으면 엄청 끄기가 어렵습니다.

얼마전에 테슬라 차량이 불 났을 때도 4시간이 걸렸다고 하더라고요.

배터리가 연소했을 때 왜 끄기가 어려울까요?

연소의 3요소는 연료/열/산소로 알고 있는데.

산소를 차단해도 무관하게 계속 불이 붙어있는거 같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차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화재 상황에서 소화하기 어려운 이유는 그 구조와 내부 화학 반응의 복잡함이 원인이 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는 배터리가 손상되거나 부적절하게 관리될 때 심각한 화재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내부의 리튬과 전해질은 과열될 경우 열적 폭주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현상은 일단 시작되면, 배터리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체인 반응으로, 발생한 열이 추가적인 화학 반응을 촉진하여 더 많은 열과 가스를 방출합니다. 이러한 반응은 자체적으로 계속해서 열과 가스를 생성하므로, 일반적인 소화 방법으로는 통제하기 어렵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손상될 경우, 산소를 포함한 가스를 방출할 수 있는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내부 산소는 화재를 지속시키는 데 필요한 산화제 역할을 하며, 외부 공기로부터의 산소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불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또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구조는 여러 셀로 구성되어 있어, 한 셀에서 시작된 화재가 다른 셀로 확산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 때문에, 내부적으로 시작된 화재는 외부에서 접근하기 어렵고, 일반적인 물이나 폼 소화기로는 소화하기 힘듭니다. 전문적인 소화 절차와 장비가 필요하며, 때로는 화재가 자체적으로 소진될 때까지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합니다.
    이런 요인들로 인해, 전기차 배터리 화재는 통제하기 매우 까다로울 수 있으며, 이는 소방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특별한 대응 방안을 요구하는 상황입니다. 배터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 기준과 소화 기술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원영 전문가입니다.

    베터리는 셀구조로 되어 있는데 하나의 셀이 불이 나면 바로 옆의 셀로 옮겨져 열폭주가 일어납니다. 베터리 내부에 산소화합물이 있기 때문에 산소차단이 어렵습니다. 각종 화학물질이 연소되면 높은 열을 내는 물질이 있어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소화하기가 어렵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