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자동차는 세계적으로 유명합니다.
일본의 자동차는 세계적으로 유명합니다. 그런데 전기차에서는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이상한 고집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도요타는 굳이 전기차를 하지않아도 우린 잘나가 그러니 필요없다는 식의 발언을 한적있습니다.
그러나 전기차 시장이 커지고 자기네들이 선두자리를 내주고 있다보니 지금에서야 슬슬 내놓고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기차 경쟁이 격화된 가운데 일본 자동차 업계는 ‘거북이’ 행보를 보이고 있다. 하이브리드 전략 고수와 전동화 전환 후 일본 내 일자리 감소 우려로 정부 측 대응이 늦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차의 경우에는 전기차 시장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할 정도로 선두적인 위치를 점령했었습니다.
하지만 일본차량업계가 전기차시장보다 하이브리드차량에 더욱 집중하는 전략을 펼친 탓에 전기차시장의 점유율을 오히려 빼앗기게 되면서 현재의 중-미-유럽의 3강 체제로 구축이 된 상황입니다.
일본의 경우 2009년도 세계 최초로 양산형 전기차인 이이미브를 미쓰비시자동차가 생산하기 시작하였고, 닛산 또한 리프를 출시하면서 당시 수만대에 불과하였던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면서 세계 시장 점유율 70~90%를 점유하기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여전히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전략만을 내세우는 일본차 시장의 전략으로 인해서 전기차시장에서의 점유율은 점차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 내수시장에서 전기차 보급률이 상당히 낮은 등
이에 따라서 기업들이 전기차에 대한 개발 등을 게을리 하여
상대적으로 점유율 부분에 있어서 뒤쳐지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