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옛날과 달리 요즘 학자들이 조각류 공룡의 복원도를 네발로 걷는 모습으로 표현해서 그린 이유가 무엇 때문이었나요?

옛날에는 조각류 공룡의 복원도를 캥거루나 마못처럼 두발로 일어서거나 사람처럼 두 다리로 걷는 모습으로 표현했어요.

하지만 나중에는 목이 긴 용각류 공룡이나 뿔공룡, 검룡이나 갑룡처럼 네발로 걸어다니는 복원도로 표현을 다르게 해서 그렸어요.

하지만 옛날에도 물을 마실 때 네발로 표현했던 복원도를 그려서 표현했는데요.

무엇 때문에 조각류 공룡의 이미지를 일어서거나 두 다리로 걷는 모습으로 여러번 바꿔서 표현했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옛날에는 조각류 공룡의 복원도가 두 다리로 걷는 모습으로 많이 그려졌던 것은 초기 공룡 연구에서 수각류 공룡과 유사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작고 민첩해 보이는 초기 조각류 공룡의 화석의 영향이 컸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더 많은 화석들이 발견되고, 공룡의 골격 구조와 보행 방식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면서 조각류 공룡의 움직임에 대한 이해도 바뀌게 되었습니다.

    특히  여러 종류의 조각류 공룡 발자국 화석들이 발견되었는데, 일부는 앞발과 뒷발 모두 찍힌 네 발 보행의 흔적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조각류 공룡이 때로는 네 발로 걸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죠.

    또한 일부 조각류 공룡의 앞다리뼈가 이전 생각보다 튼튼하고 발달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는 앞다리가 단순히 몸을 지탱하는 역할 이상을 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몸집이 큰 조각류 공룡의 경우, 네 발로 걷는 것이 더 안정적이었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게다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조각류 공룡 화석들이 발견되면서 초기에는 작고 민첩한 이미지로 생각되었던 것과 달리, 덩치가 큰 조각류도 존재했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러한 큰 조각류는 몸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네 발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적으로, 조각류 공룡의 복원도가 두 발에서 네 발로, 혹은 두 발과 네 발 모두 사용하는 모습으로 변화한 것은 과학적 증거가 더 많이 발견되었고, 이를 해석하는 방식이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 조각류 공룡의 복원도가 네발로 걷는 모습으로 바뀐 이유는 고생물학 연구가 발전하면서 뼈의 구조와 근육, 보행 흔적 화석 등을 분석한 결과 네발 보행이 더 자연스럽고 안정적인 자세라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