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1.05

오수가 정화되려면 어떤 과정을 거치나요?

우리가 먹는 수돗물도 다 처리과정을 거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더러운 물이 어떻게 식수로 사용될만큼 깨끗해지는지

수돗물을 식수로 끓여먹고 있어서

궁금하여 질문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수돗물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과정을 거쳐서 깨끗한 식수로 만들어집니다. 먼저 수원에서 물을 채취하고 여러 단계의 정화 과정을 거쳐서 오수로 만듭니다. 그리고 오수는 더 깊은 지하수층으로 흐르면서 더 많은 필터링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렇게 정화된 물은 다시 수원으로 돌아와서 살균 과정을 거쳐서 수돗물로 만들어집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먹는 수돗물은 매우 깨끗하고 안전하게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우리가 먹는 수돗물이 식수로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물리적 처리: 오수가 처음으로 처리되는 단계로, 큰 물체 및 고형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공정에 의해 체류 시간이 늘어난 후 침전, 여과, 첨가제 등을 사용하여 물질을 분리합니다.

    2. 생물학적 처리: 오수에서 혼합 된 유기 물질, 질소, 인 등을 제거하기 위해 생물학적 처리 단계를 거칩니다. 이 단계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반응과 생물학적 처리 프로세스를 통해 유해 물질을 분해하고 제거합니다.

    3.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이후에도 제거되지 않은 남은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화학적 처리가 수행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화학 물질을 사용하여 오수에서 남아있는 유기 물질, 질소, 인 등을 제거하거나 변환합니다.

    4. 여과 및 소독: 최종적으로 오수는 여과 과정을 거쳐 잔여 미생물, 물질 및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그런 다음 소독제를 사용하여 잔류 미생물을 제거하고 오수를 안전하게 처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05

    안녕하세요. 서수용 과학전문가입니다. 오수가 처리되는 과정은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 접촉촉기방법, 침지식분리막 방법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