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용돈 교육, 초등 저학년부터 어떻게 시작하는 게 좋을까요?
아이에게 돈의 개념을 가르치고 싶어서 용돈을 조금씩 주기 시작했는데, 매번 눈앞에 보이는 장난감이나 군것질에 다 써버립니다.
'스스로 계획하고 써 봐라'고 해도, 아직은 너무 추상적인 말인 것 같아요.
저학년 때부터 현실감 있게 돈을 배우게 하려면, 어떤 방식이 좋을까요?
주 단위 지급, 저금 습관, 미션 방식 등 실전 팁을 듣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에게 경제교육의 방법을 적어드리면
첫째, 돈은 땀과 노력의 결실로 힘들게 벌어들임을 알려주세요.
둘째, 돈의 흐름과 유통과정 그리고 용돈의 개념에 대해 알려주세요.
셋째, 알뜰한 소비방법과 소비한 지출내역 및 남은 용돈을 기록하는 용돈기입장을 적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 왜 용돈 기입장을 기록해야만 하는가 라는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한 설명을 해주세요.
넷째, 남은 용돈까지 다 쓰는 것이 아니라 남은 용돈은 저금 및 저축을 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세요.
마지막으로 남은 용돈을 가지고 은행에 방문하여 아이 통장을 개설하고 남은 용돈을 저금 및 저축을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초등학교 저학년 이면 용돈은 한달 단위로 만원을 주세요.
저금 방식은 그날 소비하고 남은 돈은 저금 하도록 해주세요.
미션 방법은 오늘 용돈을 쓰고 저축을 했다면 칭찬스티커를 붙이는 보상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들에게 용돈 기입장을 써보게 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내가 받은 돈, 내가 지출한 돈을 적도록요. 그리고 용돈의 조금씩 모아서 내가 사고 싶은 것, 하고 싶은 것을 위한 돈으로 저축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 저학년에겐 주 단위 소액 용돈이 적당합니다. 1000원에서 2000원 사이를 주시고 '저금통, 쓰는 통' 나눠서 관리하게 하며, 간단한 목표(예:원하는 장난감) 세우기와 용돈 미션(예:설거지 도우면 500원)도 동기부여에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그래서 한꺼번에 많은 돈을 주기 보다는 매일 용돈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한 물건이 있다면 본인의 용돈을 모아서 살 수 있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사용한 용돈은 기록하는 습관도 기르면서 불필요한 지출은 줄이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