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영상 콘텐츠 위주의 정보 소비는 문어체 독해 습관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영상 콘텐츠 위주의 정보 소비는 문어체 독해 습관에 어떤 영향을 주며 장기적으로 사고 구조나 글쓰기 능력에 어

떤 변화가 생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전통 문학에의 종사하는 사람으로서 최근 인터넷 구어, 문어체의 확산으로 인해 많은 문학작품에도 그러한 것이 반영되고 있어 아쉽기는 하지만 문학은 현재의 흐름을 반영하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상 콘텐츠 위주의 정보 소비에 있어서 구어가 아닌 문어체에도 영상에 쓰이는 신조어나 어법들이 사용되므로 그것에 대한 문해력도 갖추어야 현대에 유행하는 문학의 한 시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물론 그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문학계에서는 여전히 전통적인 글쓰기와 그에 따른 사고 구조 등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러기에 굳이 사고 구조나 글쓰기 능력에 큰 변화를 요구하지는 않는다고 봅니다. 하지만 문학은 진리를 다루는 학문은 아니기에 그에 대해 유연하게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사람은 습관의 동물인데, 자연스럽게 모든 이미지와 소리로 바로 전달되는 동영상, 그것도 요즘은 이제 Short Form 시대로 짧고 짧은 순간순간의 동영상을 연속으로 보는데 익숙해진다면, 스스로 뭔가 장면을 상상하거나 논리구조를 파악해가며 산문을 읽는 것이 더 낳설게 느꺄질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이미 발전되어 보편화된 문명의 이기를 배척하거나 하는 것은 무리가 있겠지만, Retro개념으로 좀 더 활자매체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을 도모하여 보편성을 높이는 방안을 찾아야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영상 콘텐츠를 통해 정보를 얻는 사람이 많아 지면서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인 문해력이 약해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영상은 짧고 직관적으로 정보를 전달해 주기 때문에 긴 문장이 복잡한 표현을 읽고 해석하는 연습을 할 기회가 줄어듭니다. 그래서 깊은 사고와 해석을 필요로 하는 능력인 문해력에 영상 콘텐츠가 악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는 독서 능력의 저하로 이어지고 사고력과 표현력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