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뽀로로
뽀로로23.03.10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가끔씩 주식이나 코인에서 액면분할을 한다는 소식을 듣게 되는데, 액면분할의 정의는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액면분할이 되는 경우의 장단점이라던지 유의해야할 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액변분할은 주식의 액면가격을 낮추는 겁니다. 대략 액면가가 2천원이면 절반으로 낮추면 천원이 되는데, 주식가격도 동반해서 낮아지는 겁니다. 그렇게 되면 주식 거래량이 더 늘어나서 활발하게 수급이 들어올수 있다고 보여져서 일부 호재로 판단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분할은 회사가 기존 주식을 여러 주식으로 나누는 기업 행동입니다. 예를 들어, 2:1 주식 분할에서 모든 주주는 분할 전에 소유한 각 주식에 대해 2주를 받게 됩니다. 발행 주식의 총 수는 두 배가 되지만 각 주식의 가치는 절반이 됩니다.

    주식 분할의 주된 이유는 개인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더 저렴하게 만들기 위함입니다. 주당 가격을 낮추면 회사는 잠재적으로 더 많은 투자자를 유치하고 주식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액면분할은 그 주식의 액면가를 쪼개 유통 주식 수를 늘리는 것으로써, 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 회사의 주주가 되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고, 주식 유통 물량을 늘려 주식의 유동성을 늘릴 수 있다는 긍정적인 부분도 존재합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액면분할을 하게 되면 1주당 가격이 전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소액주주들의 접근성이 좋고 거래량이 증가하게 되어 주가가 상승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대로 주의해야할 점은 기업의 가치는 변함이 없는데 단순히 액면분할로 급등한 것이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상장된 주식회사들이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는 회사의 1주당 가격이 높아 해당 회사의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사람이 적어 액면분할을 통해서 1주당 주식 가격을 낮춤으로써,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수요자를 확대하여 해당 회사의 주식 거래를 활성화 시키고 이를 통해서 회사의 주가를 부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액면분할을 실시하게 됩니다.

    과거의 대표적인 사례들을 본다면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1주당 가격이 286만원에서 액면분할을 실시하였고, 삼성전자의 경우도 250만원에서 액면분할을 실시하였습니다. 당시 아모레퍼시픽이나 삼성전자의 주식 1주를 매수하기 위해서는 월급에 해당되는 돈이 필요하다보니 개인들이 쉽게 매입하기 힘든 주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액면분할을 통해서 가격이 낮아져 주식 매수에 대한 진입장벽이 낮아지게 되면서 삼성전자는 '국민주'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1주당 가격이 낮아지게 되면 우량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주체들이 늘어나게 되고 이러한 주식들의 매수와 매도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유동주식의 거래가 활성화되는 효과를 가지게 됩니다. 주주들 입장에서도 팔고 싶어도 매수세가 없어 팔기 힘들었던 주식을 매수세가 따라오게 되면서 팔기 쉽게 되어 주식의 활성화의 효과를 보게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 액면분할은 기업이 주식의 액면가를 기존보다 작게 조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보통 주식 가격이 너무 높아져서 개별 투자자들이 주식을 구입하기 어려워지거나, 또는 기업의 주가가 높아져서 시장에서의 유동성이 떨어지는 경우에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한 주식의 액면가가 1만원인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의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한 주식의 가격이 100만원이 되었습니다. 이 경우, 개별 투자자들이 한 주식을 구매하기가 어려워지며, 시장에서의 유동성도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회사는 주식의 액면가를 1만원에서 1천원으로 분할하여 주식의 가격을 1/10로 낮춥니다. 그러면 한 주식의 가격은 10만원이 되고, 개별 투자자들도 더 쉽게 주식을 구입할 수 있게 되며, 시장에서의 유동성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액면분할은 기업의 실적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주식시장에서 주가의 안정성과 거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주식 액면분할은 종종 기업의 경영 안정성과 성장 가능성을 시사하는 신호로도 여겨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