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일반적으로용감한카페라떼
일반적으로용감한카페라떼

요즘 한국주식이 굉장히 지지부진하네요

미국주식이 요즘 반등에 성공한듯 보이는데 한국주식은 조용합니다 한국주식 저평가라고보는데 왜 투자를 하지않을까요?제가모르는먼가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은 투자자들도 다 아는거 같습니다 미국 증시야 과거 통계로 봐도 기간 조정은 있어도 꾸준히 우상향해서 장기간 투자시 수익률이 좋았죠

    우리나라 주식은 거의 20년 동안 박스권에 있습니다 장기투자해서 잘 되는 경우가 드문 주식이 우리나라 주식이죠

    그래서 다들 미국장 해라 하는거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은 저평가 상태일 수 있지만, 투자자들이 우려하는 점은 경제 성장 둔화, 정치적 불확실성, 그리고 글로벌 시장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미국 주식은 경기 회복과 기술 주도의 상승세로 반등한 반면, 한국은 내수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주식은 결국 수급이 들어와야 하는데 현재 외국인이 계속 팔고 있는 상황입니다

    • 외국인 수급이 들어오지 않는 이상 지지부진하다가 결국 하락하는 그림을 만들 가능성이 큽니다.

    •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와 같은 환율 상황으로는 상승이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현재 고금리, 고환율, 고물가의 3중고 영향으로 시장경기가 악화되어 있는 상황이며 분기 경제 성장율이 연속으로 역성장하면서 침체가 가시화 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시장이 이에 대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조금의 반등으로 인해 현재는 박스구간에 있는데요.

    이유는 한국경제 자체에대한 기대감이 별로 없다는 점이 크고 여기에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과 관세정책으로 인하여 정세가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한국 경제가 매우 심각한 단계로 가고 있고 회복은 커녕 이미깨진 항아리에 데일밴드만 덕지덕지 붙이고 있는 상황이라 앞으로 dsr3단계시행 후 겨울철이 되어 비성수기가 오면 정말 최악으로 치닫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예상됩니다.

    여기에 반환점은 대통령이 누가되느냐와 정책인데 그것도 지지율올리기위한 단편적으로 갈 것으로 보이고 장기간 한국사회는 정말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 증시는 경기둔화와 1분기 역성장으로 인해 상당히 안좋은 상황이지요.

    조선주와 대선 테마주들이 상승하는 것 외에 크게 눈에 띄는 종목이 없으며 전체 증시가 좋은 상황이 아닙니다.

    기업들마다 심각한 상황과 자영업자들도 소비위축에 따른 폐업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가의 상승은 좀더 시간을 두고 글로벌 경기 상황이나 시장흐름에 따라 접근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주식이 반등에 성공했다고 보기는 아직 이르고, 우리나라 주식은 약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해서 저평가 받을 수 밖에 없는 몇 가지 요인이 있는데요.

    오너 일가의 지배구조로 인한 주주환원책 미흡, 전세계 경제 상황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높은 수출 의존도, 남북 분단으로 군사적 대치 상황, 노동시장의 경직성 등이 주요 요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미국 주식의 퍼포먼스는 연간수익률로 마이너스성장이며 가장 부진한 시장입니다 즉 그만큼 강하게 하락했기 때문에 반등하고 잇는것이며 한국주식은 최근에 미국 주식이 급락할때도 오히려 초기에 하락을 했을뿐 횡보하면서 반등을 강하게 하였고 올해 수익률로 플러스수익률로 괜찮은 흐름입니다.

    즉 밸류에이션 측면으로서 상당히 잘 버틴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여기서 강하게 상승을 하기엔 여건이 좋은 상황은 아닙니다. 관세로 인한 전세계 무역공급량의 감소는 수출의존도가 가장 높은 한국기업에게 있어 그리고 전세계에서 GDP에서 제조업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중 하나인 한국이고 미국이 추구하는 리쇼어링과 자국들의 여러 국가들도 이런 추세이기 때문에 결국 한국에게 있어 점진적으로 피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서 수출감소량은 지속적으로 하락할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대외적인 환경이 좋지 않기 때문에 한국주식으로 강하게 수급이 들어오기엔 상황이 여건치 않기 때문에 다소 횡보를 하면서 지지부진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 시장의 반등과는 대조적인 모습에 답답함을 느낄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이익에 비해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등 주주에게 돌려주는 비율이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습니다. 이는 투자자 입장에서 투자 매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낮은 주주환원율은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주주 가치 제고보다는 내부 유보하거나 비효율적인 투자에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습니다. 일부 한국 기업의 경우, 대주주 중심의 경영으로 인해 소액 주주의 권익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다는 인식이 있습니다. 투명하지 않은 의사 결정 과정이나 불합리한 내부 거래 등은 기업 가치를 저해하고 투자 신뢰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이 부분은 다시 한국 주식 시장의 근본적인 이슈에 대하여 다시 고민해야 할 문제라고 보여집니다.

    코리아디스카운트라는 말이 있습니다. 동일업종,종목이라도 한국 기업의 주식이 저 평가 되어 있다는 의미로서 이는 오래전 부터 지적되어 온 낮은 주주환원율 그리고 불투명한 지배 구조와 특히 최근의 정치적 불안까지 겹쳐 외국 투자자의 신뢰가 낮다는 것 입니다.

    이에 반면 미국 주식의 경우 최근 트럼프 관세 정책 완화 기대와 금리 인하 기대 그리고 기술주 중심의 회복세가 보이며 어느 정도 시장이 살아나는 분위기 입니다.

    실제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이 없이는 저평가 매력만으로 지속적인 투자 매력을 이끌어내기 힘들다고 생각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주식이 지지부진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한국에는 대주주 위주로 회사가 운영되고 있음을

    투자자들이 봤기 때문에

    차라리 미국 증시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